-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
자연과학계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지역사회영양학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
지역사회영양학,2021년2학기중간.hwp
-
등록인 jrpark0929
-
등록/수정일 22.10.04 / 22.10.04
-
문서분량 6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10,0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의 성과평가 결과를 참고하여 다음 과제를 작성하시오. (A4 4페이지)
1. ‘건강형평성’과 관련있는 지표들의 성과평가 요약 (수치제시, 1페이지, 5점)
2. ‘성과지표’ 22개에 대한 성과평가 요약 (수치제시, 1페이지, 8점)
3. ‘성과지표’ 중 ‘악화’로 평가된 지표들의 정의, 2008년 기준치, 2020년 목표치, 목표달성도 요약 (수치제시, 1페이지, 7점)
4. 지역사회영양학의 관점에서 ‘악화’로 평가된 지표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지 본인의 견해를 피력(1페이지, 10점)
- 본문일부/목차
- 1. ‘건강형평성’과 관련있는 지표들의 성과평가 요약 (수치제시, 1페이지, 5점)
영양부문은 22개의 성과지표를 가지고 있는데 이중 6개 지표(가임기여성 빈혈유병률, 지방·칼슘·리보플라빈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소득하위 및 상위 인구비율 차이, 만6세 이상의 과일과 채소를 1일 500g 이상 섭취하는 소득하위 및 상위 인구비율 차이, 적정체중의 소득하위 및 상위 인구비율 차이)가 건강형평성과 관련이 있다.
(표)
위의 그래프는 건강형평성과 관련이 있는 지표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가임기여성 빈혈유병률을 나타내는 하늘색 그래프는 2008년 13.7%를 시작으로 2017년 13.6%까지 비슷한 숫자를 유지하고 있고, 지방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소득하위 및 상위인구비율 차이는 2008년에 4.0%를 시작으로 2017년 4.9%로 중간에 위아래 변동폭을 보이며 다시 증가하였지만 지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부분이다.
칼슘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소득하위 및 상위인구비율 차이는 2008년 7.3%를 시작으로 2017년에는 2.0%까지 감소하였고, 과일과 채소를 1일 500g이상 섭취하는 소득하위 및 상위 인구비율 차이 역시 2007년 12.4%로 시작하여 2017년에는 7.0%까지 감소하였다. 반대로 증가한 지표는 리보플라빈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소득하위 및 상위 인구비율차이와 적정체중(18.5≤BMI<25) 소득하위 및 상위 인구비율 차이로 각각 2008년에 8.2%를 시작으로 2017년에 14.2%까지, 2007년에 3.0%를 시작으로 2017년에 5.4%까지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 연관검색어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