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향가의 작가(작자) 연구


카테고리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파일이름 :향가의 작자 연구.hwp
문서분량 : 21 page 등록인 : nav448439
문서뷰어 : 한글뷰어프로그램 등록/수정일 : 20.10.27 / 20.10.27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1
판매가격 : 5,0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레포트] 향가여요론 요점정리 서브노트 / 향가여요론 요점정리 서브노트 1. 정읍사 (... 5 pages 1000
문학사 정리... 25 pages 2000
고려가요 향가 (제망매가) 감상문... 4 pages 1000
향가 내용과 특징 및 향가 형식과 작품세계 연구 및 향가 주요작품 사례분석... 8 pages 3900
향가와 고려가요의 특징을 통시적 관점에서 비교하시오 [S]... 4 pages 4000
보고서설명
향가의 작가(작자) 연구

향가의 작가에 대해서 레포트를 쓴 자료입니다

원문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작자에 대한 이설

향가 작자의 실상에 대한 이설을 바탕으로 쓴 레포트입니다~~
본문일부/목차
목 차
Ⅰ. 머 리 말

Ⅱ. 본 론
1. 원문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작자에 대한 이설
(1) 願往生歌

(2) 禱千手大悲歌

(3) 處容歌

2. 향가 작자의 실상에 대한 이설
(1) 역사적 실존 인물설

(2) 설화적 가공인물설

(3) 역사적 실존 인물의 원작자설

(4) 이설들에 대한 비판적 이해


Ⅲ. 맺 음 말

참 고 문 헌
Ⅰ. 머 리 말

향가에 있어 작자 연구는 그 성립 배경 및 향유 계층 문제, 작품의 배경 사상 문제를 해명하는 일이 요청된다. 특히『삼국유사』에 설화와 함께 실린 향가 14수의 경우는 작자의 존재 양상을 밝혀 작품의 성립 동인을 파악하는 것이 작품 이해의 도움이 된다. 『균여전』에 실린 보현십원가는 균여 한 사람의 작품인 데 비해, 『삼국유사』에 실린 작품은 작자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균여전』의 경우는 향가가 노래 자체만을 전하는 항목 안에서 독립적인 시가로서 시가 자체에 문맥을 담고 있는데 비해 『삼국유사』에 실린 향가는 유사 자체의 편찬의식과 관련하여 설화 속에 설화의 문맥으로 이어진 노래이기에 작자 연구에서도 독립적인 시가로서 연구해서는 안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균여전』의 향가와 『삼국유사』의 향가는 작자의 면에서 이질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두 계열인 현전 향가 전체를 대상으로 작자를 논의하기보다는 『삼국유사』에 설화의 일부로 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삼국유사』에 실려 전하는 향가의 작자에 대하여 대개의 경우 선학들은 該書의 기록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 향가의 성격이나 본질연구의 기초 자료로 삼아왔던 것이 통례였고, 혹 부대설화의 원문 句讀의 차이로 작자시비가 있었던 것이 고작이었다.(「願往生歌」의 경우)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역사학적 고증주의에 입각하여 작자 문제에 揷疑하거나(「薯童謠」,「處容歌」,「安民歌」의 경우), 문화인류학적 견지에서 순전히 설화상의 가공인물 내지 상징적 인물로 보아 시가 해석까지 상징적 의미로만 파악하려는 경향(「彗星歌」,「兜率歌」의 경우)도 있어, 종래에 거의 의심 없이 받아들여졌던 향가의 작자 문제가 새로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어찌 생각해 보면 이 작자 문제는 어디까지나 문학외적 문제로서 작품의 본질적 연구와는 별 무관할 것 같이 생각될지 모르나, 이 작자 문제는 작자 문제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향가의 경우 크게는 그 시가의 향유계층문제, 그 작품의 배경사상문제, 그 양식의 역사적 전개 문제 등에 깊이 관련되고, 나아가서는 개별 작품의 올바른 해석으로 원작의 진면목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기점이요, 좌표의 축이 되는 기본 문제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학적 주석이나 어떤 측면의 본격적 연구보다도 이 문제가 선결되어야 할 중요 과제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Ⅱ. 본 론

『삼국유사』에 실려 전하는 향가에 대한 작자 연구는 크게 세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향가의 작자를 실존했던 역사적 인물로 보는 방법, 설화적 인물로 보는 방법과 역사적 인물의 가명으로 보는 방법이다. 향가를 전하고 있는 『삼국유사』의 배경설화에서 작자라고 지목된 서술을 그대로 역사적 서술로 해석하는 방법이 초기의 연구 방법이었다면, 『삼국유사』 자체의 편찬의식에 입각하여 작자에 관한 서술도 설화적 문맥에서 해석하려는 방법이 두 번째 연구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연구방법은『삼국유사』에서 지목된 향가 작자의 이름이 설화적 명명법에 의한 것임을 인정하는 입장에서도 그 설화적 명명법에 가려진 역사상 실제 인물을 찾아내 설화적 명명법의 향가 작자와 일대일 대응시키려는 연구방법도 생겨났다. 이러한 방법은 『삼국유사』에서 지목된 작자를 『삼국유사』의 설화적 문맥 속에서 창출된 설화적 인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설화적 명명법만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설화적 이름 뒤에 가려진 실제 인물인 작자가 존재한다고 보아 역사적 인물에서 향가의 작자를 찾아내려는 것이다.
이렇듯 지금에 와서 기존에 향가 작자로 당연시되어 왔던 인물들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여러 모로 수행 중에 있다. 이러한 이설들이 『삼국유사』소재 전체 향가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자를 다루는데 있어서는 매우 핵심적인 문제의 제기로 보인다.
향가의 작품별 작자는 다음과 같다.

1)「薯童謠」: 薯童 2)「彗星歌」: 融天師
3)「風謠」: 民謠 4)「願往生歌」: 廣德
5)「慕竹旨郞歌」: 得烏谷 6)「獻花歌」: 老人
7)「怨歌」: 信忠 8)「兜率歌」: 月明師
9)「祭亡妹歌」:月明師 10)「讚耆婆郞歌」: 忠談師
11)「安民歌」: 忠談師 12)「禱千手大悲歌」: 希明
13)「愚賊歌」: 永才 14)「處容歌」: 處容郞

『삼국유사』에서 보이는 작자를 토대로 정리해보면 위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원문이 보다 정밀하게 읽혀지면서 그러한 성과에 힘입어 향가 작자에 대한 이설이 제기되기도 한다.


1. 원문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작자에 대한 이설

『삼국유사』에서 향가의 作詩 관련 기사를 뽑아 보면 다음과 같다.

薯童謠 作謠誘群童而唱之
彗星歌 師作歌
風謠 城土如爭連泥土風謠云
願往生歌 其婦乃芬皇寺之婢 盖十九應身之一德嘗有歌云
慕竹旨郞歌 初得烏谷慕郞而作歌
獻花歌 作歌詞獻之
怨歌 忠怨而作歌 帖於栢樹
兜率歌 明乃作兜率歌賊之
祭亡妹歌 作鄕歌祭之
讚耆婆郞歌 朕嘗聞師讚耆婆郞詞腦歌
理安民歌 爲朕作理安民歌 僧應時奉勅歌呈之
禱千手大悲歌 令兒作歌禱之 遂得明
연관검색어
향가 작가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