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전통사회의 향토풍속과 문화 가운데는 자원봉사활동의 뿌리가 있다. 고대 농촌 부락단위로 공동경작에 참가하면서 자연적으로 상부상조하는 두레와 농촌의 노동력 교환인 품앗이, 상부상조의 정신을 기본으로 한 공동생활의 표현에서 출발하여 신라시대부터 성행된 공익적인 계 조직, 그리고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 역사회주민의 순화, 덕화, 교화 등을 목적으로 지식인들 간의 자치적 협동조직인 향약, 그 외 부조, 향도 등이 자원봉사활동의 초기 단계인 상부상조활동 또는 전통적인 자선활동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유래를 역사적으로 검토해 볼 때 삼한시대에서 찾을 수 있다.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취미나 그 밖의 생활의 공통적 분야에서 공동으로 회유, 제례, 회식 등과 같은 행사를 통해 이해관계를 같이 해 왔다. 이러한 계 조직은 신라시대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오늘날까지 유사한 형태로 계승되고 있다. 이는 상부상조의 미풍 양속 자체가 오늘날의 자원봉사활동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직 ․ 간접적으로 이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신라시대에는 농촌사회의 상호협력과 감찰을 목적으로 촌락단위로 조직된 두레라는 주민협동체가 있었는데, 여기서 주민의 자발적인 상호 협조정신과 제도적인 측면을 찾을 수 있다. 이렇게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소박하고 원시적인 농민중심의 두레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가졌지만, 그 중에서 상부상조의 부역노동형태가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 두레는 지방에 따라 공굴, 공골이, 조리, 동네 논매기, 행두 품어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이러한 전통사회의 상부상조와 자원봉사에 대하여 향약, 계, 두레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향약
향약은 우리 사회에 유교적 예속 내지는 미풍양속의 보급 정착에 크게 공헌하였다. 향약은 이황, 이이 등이 중국의 "여씨향약"의 사대 강령인 덕업상권(德業相動),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値)의 취지를 우리 실정에 맞도록 첨삭하여 마련한 후 우리 사회에 순조롭게 수용되고 널리 보급된, 이른바 지방자치를 실현하여 사회 안정에 이바지한 전통적인 향촌의 자치규약이다. 대표적 향약으로 알려진 이황의 "예안향약"이나 이이의 "해주일향약속"은 향약, 즉 지역사회의 교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이것과는 다른 향규라는 것이다. 지역마다 향안(滿案)이라는 것이 있어 이 안(案)에 오른 자, 즉 향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