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판매가격
7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Ⅰ. 서 론
기업의 장애인 근로자 복지발표를
하는 이유는 ?
Ⅱ. 본 론
1. 장애인 고용기업의 실태
2. 장애인 고용 기업의 사례
Ⅲ. 결 론
- 본문일부/목차
- 편견, 부끄러움의 또 다른 이름 [아시아 경제 2010.04.20]
“아직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장애인이라고 해서 별다른 게 없거든요.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나 똑같이 봐주셨으면 좋겠어요." 2010 벤쿠버 동계 장애인올림픽 휠체어 컬링부문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딴 김학성씨의 말이다. 예전보다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장애인이 느끼는 사회의 냉대와 편견, 차별은 여전하다는 항변으로 들린다.
장애인이 처한 현실은 복지국가라는 말이 무색하다. (중략) 장애인 고용률은 2008년 기준 37.7%로 국민 전체 고용률 58.4%에 크게 못 미친다. 의무고용비율마저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의무고용 비율이 2%인 민간부문 고용률은 1.72%, 3%인 중앙 행정기관은 2.18%다. 특히 삼성(0.92%), SK(0.79%), LG(0.88%), GS(0.78%) 등 대기업의 경우 1%도 안 된다. 열거하기에도 부끄러운 현실이다.
장애인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등한 대우를 받는 사회를 만드는 데 있다. 그러려면 장애인이 스스로 설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일자리의 문을 넓히는 정책적 배려가 자리 잡아야 한다. 무엇보다 법과 제도 이전에 사회의 뿌리 깊은 편견과 차별의식을 불식시키는 게 중요하다.
▶ 대기업의 경우 장애인 고용률이 1%가 되지도 않는 현실은 기업체가 장애인을 고용함에 있어 편견과 차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연관검색어
-
#사회복지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