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판매가격
2,0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건물 짓는 순서
일반적 특성
- 고건축물(목조건물)의 장점
- 고건축물(목조건물)의 단점
조형적 특성
- 가구
- 기단
- 기둥
- 들창
- 맹장지
- 마감
- 지붕
- 기와
- 초석
한국의 고건축에 대해 공부하며.
- 본문일부/목차
- 집짖는 순서
집짓는 순서와 의례는 터잡기에서 시작하여 터닦기(開土), 주추놓기(定礎), 기둥세우기(立柱), 상량식, 집들이(入宅)로 이어진다.
1.집짓기
집짓기에 있어서 좋은 터를 잡는 것이 가장 먼저 할 일이다. 집터는 산세와 지세를 보아 오목하고 양지바른 곳을 선택하며 주위보다 약간 높아 전망이 확 트인 곳이 가장 좋다.
2.개토
개토(開土)는 집터를 닦기 위해 처음 땅을 파는 일이다. 먼저 지신(地神)에게 고사(告祀)를 지내고 나서 일을 시작하는데, 이는 건물이 완공될 때까지 무사고를 기원하며 집에 불(화재)이 나지않고 잡귀가 들지 못하게 부정을 치기 위함이다.
3.정초
정초(定礎)는 기둥을 세울 자리에 주춧돌을 놓는 작업이다. 주초를 놓는 작업은 주초의 배열을 결정함으로써 기둥이 놓일 자리를 결정한다. 이 작업은 어머니를 상징하는 땅(穴)에 아버지의 씨앗(生命)을 의미하는 주초를 박아 성주신을 잉태하게 한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4.입주
입주는 기둥을 세우는 작업에서 끝나지 않고 주두에 보와 도리를 결합시켜 건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작업이 포함되어 있다. 때문에 목수들은 이 날을 집 세우는 날이라고도 한다. 상량제(上樑祭) 목구조 집 짓기에서 가장 중요한 건축 의례이다.
5.상량
상량이란 목재를 주 구조체로 하는 집을 지을 때 가장 높은 곳에 올라가는 구조체(마룻대)를 말하며 마룻대에 집을 지켜주는 성주신이 좌정한다고 여겨 집의 안녕과 집주인의 덕을 기리는 의식이 이루어진다.
- 연관검색어
-
#건축 기술론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