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카테고리
카테고리
카테고리
카테고리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글과 생각 공통 1학년]『글과 생각』 제1장의 ‘더 읽을거리’에 소개된 장유의 <용졸당기(用拙堂記)>를 읽고, 강의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해 보시오


카테고리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파일이름 :[글과 생각]『글과 생각』 제1장의.hwp
문서분량 : 12 page 등록인 : bada
문서뷰어 : 한글뷰어프로그램 등록/수정일 : 14.03.27 / 14.03.27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4
판매가격 : 3,0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글과생각1공통)제1장의더읽을거리에소개된장유의용졸당기(用拙堂記)를 읽고분석해보시오0k... 8 pages 4000
돈의 속성 [독서감상문]... 8 pages 2800
인체에 작하는 힘... 10 pages 1500
[간호학] 인체 근육의 신경과 작 (그림 포함)... 9 pages 1200
[모든학과] 유도의 관한 리포트... 13 pages 700
보고서설명
① 내용 구성상 몇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지는지 단락을 나누었습니다.
② 각 단락별로 핵심적 의미가 무엇인지 완결된 문장으로 정리했습니다.
③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하여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제시했습니다.
④ 참고 논저를 과제물 마지막에 참고한 논문이나 저서를 구체적으로 밝혔습니다.(각주 형식으로 설명도 했습니다.)

[참고 자료]
* 장유(張維)의 용졸당기(用拙堂記)
* 한국한문학회의 2009년 하계학술 발표집
* 계곡선생집 8권
본문일부/목차
Ⅰ. 서 론

Ⅱ. 『글과 생각』 제1장의 ‘더 읽을거리’에 소개된 장유의 <용졸당기(用拙堂記)>를 읽고, 강의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
 1. 호남(湖南)의 관찰사(觀察使)인 민후(閔侯)가 장유(張維)에게 서신을 보냄
  1-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2. 자신이 마련한 집이 누추하지만 아름다운 경치 때문에 이곳에서 생을 마감하려고 한다.
  2-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3. 용졸(用拙)이라는 글자를 가지고서 자신의 집의 이름으로 삼으려고 장유에게 자문한다.
  3-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4. 하지만 이러한 둘 사이에 어떤 이가 명석한 사람에게 ‘졸’(拙)이라는 글자는 걸맞지 않는다고 문제 제기를 한다.
  4-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5. ‘졸(拙)’자를 반대하는 의견에 대해 장유는 ‘졸(拙)’의 반대는 ‘교’(巧)인데, 이는 겸손한 민사상(민후)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한다.
  5-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6. 민사상(민후)은 교자(巧者)가 아니다
  6-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7. 아름다운 그의 성품으로 볼 때, 겸손한 졸(拙)은 적합하다.
  7-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8. 그의 총명하고 용맹하면서도 부드러운 일처리는 칭찬 할만하다.
  8-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9. 교(巧)하면서도 쓰지 않는 점이 있어야만 천하의 대교(大巧)라는 차원에 진입할 수가 있다.
  9-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10. 형제간에 화목함을 도모하려 졸(拙)을 쓰려고 하는데 이 또한 아름다운 것이나, 경치를 안 보아서 아직은 무어라 대답 할 수가 없다.
  10-1> 표현상의 특징 등 각자가 느낀 이 글의 특징과 장점, 개인적인 소감 등에 관한 자신의 견해

Ⅲ. 결 론

[참고 자료]




Ⅰ. 서 론

양명학(陽明學)에 일찍이 접한 장유(張維)는 당시에 주자학(朱子學)의 편협한 학문풍토에 관하여, 학문이 실심(實心)이 없이 그 명분에만 빠지게 되면 단지 허학(虛學)이 되고 만다고 비판을 하였다.
또한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마음을 바로 알며, 행동을 통해서 진실을 인식하려고 했던 양명학적인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이식(李植)은 그의 학설이 주자(朱子)와는 반대된 것이 많다고 주장하여 육왕학파(陸王學派)로 지적을 하였으나. 송시열(宋時烈)은 “그는 문장이 뛰어나고 의리가 주로 정자(程子)와 주자를 하였으므로 그와 더불어서 비교할만한 사람이 없다.” 고 하였다.
그는 의술, 천문, 지리, 병서 등의 각종 학문에 능통하였으며, 서화와 특히, 문장에 부분에서 뛰어나 신흠(申欽), 이정구(李廷龜), 이식 등과 더불어서 조선 문학의 사대가(四大家)라는 칭호를 받고 있다.
본래 많은 저서가 있었다고 하나 대부분 소실되어지고 현재응 ‘음부경주해(陰符經注解)’, ‘계곡만필’, ‘계곡집’이 전한다.
장유(張維)의 용졸당기(用拙堂記)는 호남(湖南)의 관찰사(觀察使)인 민성휘(閔聖徽, 민후)가 문의형식으로 보낸 온 서신에 관해서 장유가 다름 사람과 논쟁을 하는 글이다.




≪ … 중 략 … ≫




1. 호남(湖南)의 관찰사(觀察使)인 민후(閔侯)가 장유(張維)에게 서신을 보냄

白馬之江(백마지강).西南流至加林郡之南爲南塘江(서남류지가림군지남위남당강).有瀕江而堂(유빈강이당).兼林麓原野之勝者(겸림록원야지승자).閔觀察士尙甫之別業也(민관찰사상보지별업야)
서남쪽으로 백마강(白馬江)이 흐르다가 가림군(加林郡)의 남쪽 지점에 이르러 남당강(南塘江)이 되는데, 이 강의 연안에 당우(堂宇)가 한 채 자리를 잡고 있다.
산림이 이곳에 울창하게 우거진 데다가 넓은 들판도 있어 볼 만한 경치를 제공해 주고 있는데, 바로 이 집이 민 관찰 사상 씨의 별장(別莊)이다.
연관검색어
용졸당기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üڷٷΰ ⸻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