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독도문제의 원인과 독도가 우리 땅인 이유


카테고리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파일이름 :[독도문제] 독도문제의 원인과 독도가.hwp
문서분량 : 31 page 등록인 : report777
문서뷰어 : 한글뷰어프로그램 등록/수정일 : 12.06.06 / 12.06.06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1
판매가격 : 2,0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독도에 대해서... 10 pages 1000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억지 근거... 3 pages 500
대한민국 최동단의 섬, 독도... 4 pages 1000
독도에 대해서... 5 pages 1500
독도문제 및 독도영유권 분쟁 사례 및 입장비교분석과 독도분쟁 대응방안... 10 pages 3900
보고서설명
1. 독도의 개관

1) 독도의 지리
독도의 행정구역상 위치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37번지이며, 관리청은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이다. 지리현황으로 위치는 동경 131°52′북위 37°14′에 자리 잡고 있다. 한반도의 본토로부터 경상북도 울진군과 제일 가까우며 울진군의 죽변만으로부터 동쪽으로 직행하면 약 120해리 또는 약 217㎞,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88㎞, 일본의 오키시마(隱岐島)에서 157㎞, 시마네현(島根縣)에서 210㎞에 위치한다. 결국 독도는 일본의 오키시마보다 울릉도에 67km나 더 가까운 것이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를 비롯한 32개의 부속 바위와 암초를 포함한 총면적은 0.186㎢로 이며, 동도는 면적 0.065㎢에 높이 88m이며, 서도는 0.092㎢에 높이 167.9m이다(국회 독도사랑모임, 2000). 서도가 동도보다 크기 때문에 수섬이라고 부르고 동도는 암섬이라고 불린다.
동도와 서도 사이에는 길이가 330m의 물길, 이른바 수도(水道)가 있다. 이 물길의 너비는 좁은 곳이 110m이고 넓은 곳이 160m이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의 주된 섬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동도의 동남방에는 바위섬 하나가 촛대처럼 뾰족하게 높이 솟아 있어서 멀리서 보면 마치 세 개의 봉우리들로 구성된 듯한 느낌을 준다. 그래서 조선 9대 성종 때 독도를 삼봉도(三峰島)라고 불렀던 것 같다(김학준, 2003).

2) 독도의 지형
독도의 생성 시기는 신생대 제3기 플라이오세(Pliocene epoch) 전기부터 후기 약 460만년 전부터 250만년 전 사이에 동해의 심해 해저에서 불쑥 솟은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일종의 해저산이다. 지형 상으로 볼 때 독도는 해수면 위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매우 작지만, 해저 부분의 화산체까지 포함하면 전체 높이는 약 2,270m이며, 밑바닥의 지름은 약 20~25km 정도이다. 독도는 동쪽에 2개의 화산섬이 해수면 아래에 존재한다.
해저산이 수면위로 드러난 경우는 세계적으로 드문 경우이며, 오랫동안 파식 및 침강작용에 의해 원래 모양을 간직하기 어려운데, 독도는 해저산의 진화과정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세계적인 지질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독도는 1948년 6월 8일 등 몇 차례 미군폭격연습장으로 악용되어, 폭격에 따른 상당한 지형적 변화가 발생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국회 독도사랑모임, 2000).
동도와 서도는 폭 110~160m, 깊이 10m, 길이 330m인 물길을 사이에 두고 나뉘어져 있다. 동도는 최고봉이 88m로 경사가 급하며 북쪽에 2개의 화구 흔적이 있는 반면, 서도는 최고봉이 167.9m로 산정이 비교적 뾰족하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해안으로 가파른 해식애와 넓은 파식대지, 점점이 산재한 암도가 발달되어 있다. 독도의 동남쪽에는 많은 해식동(海蝕洞)과 수중아치가 있으며 서도의 북쪽과 서쪽에는 파식대가 넓게 펼쳐져 있다. 특히 동도의 동쪽 절벽에는 영해를 지키는 초병의 모습을 한 얼굴바위가 있어 비장한 느낌마저 준다. 동도 한가운데에는 차별침식으로 생긴 직경 15m, 깊이 80여m의 수직구멍이 있고 천장굴을 통해 바다와 연결된 이 구멍의 바닥에는 바닷물이 들어와 있다. 반면 서도 북쪽과 서쪽으로는 외딴바위, 지네바위, 물개바위 등 부속섬과 암초가 밀집해 있고 수심 2~3m에서 출발해 경사 1~2도로 뻗어가는 파식대가 발달해 있다. 동도와 서도는 토양층의 형성이 불량해 나무라고는 보이지 않는 암회색, 암갈색 화산암으로 이뤄져 있고 바위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사람이 살기엔 적합하지 않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박인식, 1996.). 그러나 울릉도 주민들이 주축인 푸른 독도 가꾸기 회원들에 의해 1982년부터 해송, 동백나무 등을 식생하여 현재는 약 1,500그루가 바위틈에서 자라고 있다.
독도 주변의 해저 지형은 1998년 한국해양연구원 한상준 박사팀이 지질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 의해 자세히 밝혀졌다. 한국해양연구원의 온누리호에 장착된 정밀 탐사장비를 이용해 당시 한 박사팀은 독도 주변 해역에 대해 항공사진을 찍듯이 정밀 해저 지형도를 작성했다.
그 결과 독도는 심해로부터 2천여m 높이로 솟구친 3개의 해산으로 연결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개 해산은 모두 원추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윗부분은 경사도 2% 안팎의 평지였다. 수면 위로 드러난 독도는 제1 해산의 중심에 볼록 튀어나온 일부분이며 제2, 제3 해산의 정상은 수면에서 불과 60~200m 아래에 있었다.
밑바닥 지름이 25km이며 상층부의 평지 지름이 10km에 이르는 제1 해산으로부터 15km 떨어진 곳에 제2 해산, 55km 떨어진 곳에 제3 해산이 위치해 있다. 그 중 제일 높은 제1 해산은 바닥에서 평지까지의 최고 높이가 무려 2,270m나 되었다.
이렇게 볼 때 해저 기반의 너비가 좌우로 25km인 울릉도에 비해 독도는 해저기반의 너비가 50km에 가까워 물 밑에서는 독도가 울릉도보다 오히려 2배 이상 크다.
본문일부/목차
1. 독도의 개관
1) 독도의 지리
2) 독도의 지형

2. 독도의 지정학적 여건과 전략적 가치
1) 지정학적 여건
2) 전략적 가치

3. 독도문제가 발생하는 근원적인 원인
1) 정치적 원인
2) 경제적․군사적 원인

4. 독도가 우리 땅인 이유

5.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이유와 문제점

6. 국제법적 문제에 관한 양국의 입장차이
1) 도근현 고시
2) 국제법상 선점이론
3) SCAPIN 제667호
4) 대일평화조약(Peace Treaty with Japan)

7. 영유권 분쟁화 가능성
1) 분쟁화 가능성 정도
2) 분쟁 발발 시의 심각성

8. 독도영유권 분쟁의 해결 방안
1) 현상유지
2) 국제사법재판소에 의한 해결
3) 독도의 한 일 양국 공동관리
4) 조약 등 협정에 의한 해결

참고자료
연관검색어
독도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