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관광경영] 국내외에서의 막걸리 열풍과 세계화 방안


카테고리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파일이름 :막걸리 부활.hwp
문서분량 : 14 page 등록인 : keaton
문서뷰어 : 한글뷰어프로그램 등록/수정일 : 11.07.09 / 11.07.09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1
판매가격 : 2,0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3 pages 2000
[태권도승단] 승급심사제도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24 pages 15000
기초간호과학 2024년 1학기 중간과제물] 1. 항생제(항균제) 남용으로 발생하는 문제 2. 산-염기 불균형 분류(4가지) 3. 종양이 인체에 ... 11 pages 6000
농업생물화학2 물의 구조와 특성 효소 enzyme 반응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00 농학과 농업생물화학2... 12 pages 9000
농업생물화학2) 세포의 구조에 근거하여 생물계를 2가지 생물군으로 분류하고 개별 생물군의 특성 효소(enzyme) 반응의 특성 설명하시오0k ... 6 pages 7000
보고서설명
국내외에서의 막걸리 열풍과 세계화 방안에 대한 A+ 레포트

[참고자료]
www.suldoc.com
www.wookuksaeng.com
www.saengmakgeolli.com
www.daegutakju.co.kr
imbctvin.tistory.com
cafe.naver.com/ksdbmonitor
www.tastytimes.co.kr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막걸리 넌 누구냐 - 허시명, 예담, 2010
전통 웰빙주 막걸리 - 배송자, 하남출판사, 2010
막걸리 이야기 - 황영철, 심인, 2010
전통(傳統) 막걸리 제조기술(製造技術)의 동향(動向) 분석 - 이유선 외, 한국농업사학회 2010
우리 전통 술의 순례 - 탁주 또는 막걸리 이야기 - 허시명, 한국식품연구원, 2009
전통 술의 세계 상품화 - 신유호, 국내 학술 논문, 2008
전통 우리술의 세계화를 위한 정책과제 - 이동필, 국내 학술 논문, 2006
술, 음료의 세계 - 원융희, 백산출판사, 2003
130가지 자연을 담은 건강주이야기 - 임용규, 오성출판사, 2003
본문일부/목차
1. 막걸리의 이해
(1) 막걸리의 역사
(2) 막걸리를 빚는 법
(3) 막걸리의 영양성분 및 효능

2. 막걸리의 부활
(1) 국내에서의 막걸리 열풍
(2) 해외에서의 막걸리 열풍

3. 막걸리의 세계화 방안
(1) 막걸리의 단점 극복
(2) 막걸리의 다양한 시도
(3) 막걸리의 품질 개선
(4) 다양한 안주 개발
(5) 관광 상품 개발

4. 막걸리의 시사점

막걸리는 탁주(濁酒) ·농주(農酒) ·재주(滓酒) ·회주(灰酒)라고도 한다. 한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각 지방의 관인(官認) 양조장에서만 생산되고 있는데, 예전에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제조한 것을 농주라 한다. 고려시대부터 알려진 대표적인 막걸리로 이화주(梨花酒)가 있는데, 가장 소박하게 만드는 막걸리용 누룩은 배꽃이 필 무렵에 만든다 하여 그렇게 불렀으나, 후세에 와서는 아무 때 에나 만들게 되었고, 이화주란 이름도 점점 사라졌다.
제조방법은 주로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을 찐 다음 수분을 건조시켜(이것을 지에밥이라고 한다)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것을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낸다. 옛날 일반 가정에서는 지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 ‘井’자 모양의 겅그레를 걸고 그 위에 올려놓고 체에 부어 거르면 뿌옇고 텁텁한 탁주가 되는데 이것을 용수를 박아서 떠내면 맑은술[淸酒]이 된다. 이때 찹쌀을 원료로 한 것을 찹쌀막걸리, 거르지 않고 그대로 밥풀이 담긴 채 뜬 것을 동동주라고 한다. 좋은 막걸리는 단맛 ·신맛 ·쓴맛 ·떫은맛이 잘 어울리고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있는 것으로서, 땀 흘리고 일한 농부들의 갈증을 덜어주어 농주로서 애용되어 왔다.
막걸리는 지방방언으로 대포, 모주, 왕대포, 젓내기술(논산), 탁배기(제주), 탁주배기(부산), 탁쭈(경북)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막걸리는 대체로 쌀뜨물 같은 흰빛을 띠고 있는데, 지금처럼 규격화된 양조법으로 대량생산되기 이전에는 집집마다 그 나름의 술 빚는 방법이 있어 난백, 유백, 황백, 회백 등 그 빛깔도 단순한 흰빛만은 아니었다. 막걸리의 명칭은 농주, 탁주, 재주, 희주 라고도 불린다.
연관검색어
막걸리 활성화방안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