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Analysis]소셜네트워크와 기업 혁신


카테고리 : 레포트 > 기타
파일이름 :110404102553_.jpg
문서분량 : 1 page 등록인 : etnews
문서뷰어 : 뷰어없음 등록/수정일 : 11.04.01 / 11.04.01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1
판매가격 : 3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CIO BIZ+]다시 주목받는 CRM③ CRM의 오해와 진실... 1 pages 300
보고서설명
[Analysis]소셜네트워크와 기업 혁신
본문일부/목차
소셜네트워크와 기업 혁신 목차
 ①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만드는 비즈니스 혁신
 ②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스마트워크의 발전적 시도
 ③소셜 네트워크와 이러닝의 접목, 소셜 러닝 플랫폼
 ※ 연재 ②~③회는 CIO BIZ+ 온라인(www.ciobiz.c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소셜네트워크에 주목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소셜 컴퓨팅을 기업 업무에 적용해 보다 빠르고 정확한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임직원 간 자발적인 참여와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엔터프라이즈 2.0이 대표적인 예다. 또 기업 매출과 인지도 향상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업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란 사이버 상의 인맥구축으로 사용자가 새로운 네트워킹 가치를 찾아가는 참여형 서비스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SNS는 트위터를 비롯해 북미의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일본의 MIXI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사이월드나 미투데이도 SNS에 해당된다.
 SNS는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 확장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관계 중심적이며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 모바일 확장성이 뛰어나 이동성과 즉시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업이 SNS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단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벗어나 광고, 미디어, 쇼핑, 비즈니스 등 다양한 영역의 기본 플랫폼으로 진화해 개방형 API로 비즈니스 측면의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SNS는 서비스 차원이 아닌 플랫폼 차원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대부분 플랫폼을 개방해 외부 업체의 개발자가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개발하는 데 접근하기 쉽다.
 ◇웹 2.0을 이용한 SNS=참여·공유·개방을 기반으로 하는 웹 2.0의 핵심 기술에는 웹 플랫폼이 존재한다. 웹 플랫폼의 기술적인 요소는 XML의 응용, 서비스지향아키텍처(SOA), 브라우저의 확장기술, 웹 서비스의 응용, 시맨틱 웹 등 차세대 웹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을 포괄한다.
 이러한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에는 SNS, 블로그, 위키 등이 있다. SNS는 웹 플랫폼 기반의 개방형 API로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SNS 구성원의 참여와 협업을 유도해 타깃형 광고 수익모델을 가능하게 한다. 또 SNS 사업자 간의 플랫폼 개방으로까지 연계가 가능하다.
 이런 웹 2.0의 핵심 가치를 반영한 것으로 사용자의 개인 미디어 서비스, RSS 푸시 서비스, 사용자 맞춤광고, 유무선 마이크로 블로그, 롱테일 비즈니스 모델 등이 있다. 실제 페이스북은 개방형 API로 애플의 앱을 능가하는 앱을 개발해 비즈니스형 SNS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웹 2.0의 또 하나의 핵심 요소는 집단지성이다. 많은 기업이 SNS를 소통 역할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한다. SNS는 문화적, 지역적 장애 없이 커뮤니티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고 인맥형성이나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 역할을 하게 된다.
 집단지성, 군집용역(Crowd Sourcing:크라우드 소싱)은 제프 하우가 2006년 와이어드에 기고한 글에서 처음 소개됐다. 이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이 지닌 지식과 경험으로 전문가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불특정 다수의 외부 참여자의 집단 지성으로 기업의 정보 및 지식을 생산하고, 사회적 협동과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데는 SNS가 큰 역할을 수행한다.
 SNS는 고객 요구 파악뿐만 아니라 기업의 문화 자체에도 변화를 유도해 기업 내 부서 간 협업과 소통 또한 훨씬 빠르게 한다. 각 기업이 SNS을 주목하는 이유는 웹 2.0 기반의 핵심 가치가 서비스에 반영돼 새로운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컨버전스 플랫폼으로 진화한 SNS=SNS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으로부터 광고, 미디어, 쇼핑, 비즈니스 등 또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버전스 플랫폼으로 새롭게 탈바꿈하고 있다.
 SNS에 올라온 게시물이나 친구들이 생성한 정보 등을 한꺼번에 모아 보여주는 소셜 웹 검색, 소셜 네트워크 검색 등이 있으며 게임과 SNS가 결합한 소셜네트워크 게임(SNG) 등이 해당된다. 소셜 커머스, 애플리케이션, 소셜 커넥티드, QR코드 등 IT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는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마케팅 장으로 활용한다.
 또 위치기반서비스(LBS)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및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는 현 위치를 기반으로 친구찾기나 해당 위치를 메모로 붙이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LBS 기반 SNS 서비스 사업자인 루프트는 서비스 성공에 힘입어 많은 투자를 유치했다.
 위치기반 모바일 SNS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들에는 PRP(Personal Resource Planning), 유비쿼터스 셰어링, 소셜 프로세스 등이 있다.
 PRP는 개인의 자원을 어떠한 디바이스에도 상관 없이 네트워크로 일관성 있는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 어떤 시간, 장소에서나 모든 네트워크로 어떤 디바이스에서도 자원공유가 가능한 것이 유비쿼터스 셰어링이다. 소셜 프로세스는 5W1H 법칙을 이용해 질의된 쿼리를 자동으로 각 SNS 노드에 전파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각 기업은 이러한 기능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모델을 창출한다. 위와 같은 서비스에 증강현실(AR)까지 가미한 모바일 SNS로 확장하게 되면 수익모델은 더욱 커지게 된다.
 SNS가 기업에 주는 혜택은 비용절감과 시·공간을 뛰어넘는 협업 시너지라고 볼 수 있다. 또 IT산업뿐만 아니라 전통 산업 간의 컨버전스, 즉 유연한 협업 비즈니스만이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
 협업 비즈니스의 SNS는 낮은 비용으로 운용 가능하고 참여자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비즈니스 수익 극대화를 이룰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충성도를 높여 롱테일 비즈니스 모델뿐만 아니라 기업의 비wm니스 혁신을 가져오게 된다.
 기업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SNS 사업자 간의 유사 서비스가 공존해 서비스가 차별화되지 않는 문제다. 4C(Communication·Collaboration·Community·Content), SWOT 분석, 비즈니스 가치망을 통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SNS의 역기능 문제다. SNS는 모르는 사람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보니 자칫 프라이버시 침해가 있을 수 있다. 개인정보 침해대비책과 정보보호 방안을 마련하고 콘텐츠 유통관리를 위한 MPEG21 등 기술적인 보호책을 구현해야 한다.
 셋째, 공개된 개방형 API로 응용 솔루션을 적용한다면 또 다른 비용을 수반하는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즉, 투자회수(ROI) 분석을 통한 솔루션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
 기업 내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SNS 활용 성패는 SNS의 즉시성, 양방향성, 간결성, 모바일 연계를 통한 이동성 등의 특징을 개방과 공유라는 인터넷 문화와 트렌드 속에서 어떤 수익으로 연결될 수 있는 사업을 진행하는지에 달려 있다. 결국 기업 내 SNS 비즈니스 성패의 성공요소는 서비스 차별화, 비즈니스 전략도입, 마케팅 혁신을 가져옴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이정덕 KTDS SI본부 개발담당 수석보(정보관리기술사·정보시스템감리사) julytod@kt.com
연관검색어
[Analysis]소셜네트워크와 기업 혁신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