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
사회과학계열
-
[] 경주남산탑곡마애조상군
-
경주남산탑곡마애조상군1.hwp
-
등록인 jjung953
-
등록/수정일 10.11.16 / 10.11.16
-
문서분량 6 페이지
-
다운로드 1
-
구매평가
판매가격
1,5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경주남산탑곡마애조상군
[참고자료] 1. 「경주의 문화유산(상)」답사자료집 이근직, 1998
2. 「겨레의 땅 부처님땅」 윤경렬, 1993
3. 「답사여행의 길잡이-2 경주편」한국문화유산답사회, 1995
4. 「우리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경주 문화권」국민대학교 국사학과저, 2004
5. 「한국의 마애불」이태호저, 2002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이용대상]
- 본문일부/목차
- ◇ 북면 환희국 정토
◇ 서면 유리광정토
◇ 남면 세계
◈ 입체여래상
◈ 삼층석탑
◇ 동면 극락정토
보리사를 나와 갯마을에서 경주 시내의 반월성 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곳에 탑골이 있다. 탑골 마을에서 개울을 거슬러 약 300m 들어가면 불무사가 있다. 이 일대는 통일신라 시대에 신인사(信印寺)란 절이 있던 곳이다. 일제시대에는 이곳에서 신인사의 명문 기와가 발견되기도 했다고 한다. 불무사 대웅전 뒤쪽에 있는 높이 9m, 둘레가 30m의 큰 바위에는 다양한 조각들이 새겨져있다. 바위의 앞면에 두 탑이 새겨져 있어 탑곡이라 불린다. 이 바위가 신라시대의 불상군으로 보물 제201호로 지정된 마애조상군이다. 암벽 4면에는 얕은 부조와 선각을 혼합하여 탑 외에도 불상과 보살상, 승려상, 등 23분의 인물상이 새겨져 있고 사자상과 나무와 같은 조각까지 있어 무려 30여 점에 달하는 여러 형상이 한 바위에 새겨져 있다.
이를 부처바위라고도 하는데 바위 하나에 불교세계의 모든 형상, 곧 사방정토와 속인의 수양을 함께 새겨놓았다. 뿐만 아니라 바위에 새겨진 조각의 모습은 신라 때 실제로 존재했었기 때문에 목조탑의 형태를 알 수 있는 근거도 제공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바위가 그늘진 곳에 있기 때문에 이끼가 끼어 있고 여름철이면 습기가 심해 형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오랜 풍상으로 마멸이 더욱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 연관검색어
-
#경주남산탑곡마애조상군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