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특징부터 한옥과 현대주택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설명하였습니다. 다양한 예시 사진과 표로 구매알찬 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참고자료] 한옥에 살어리랏다 / 돌베게 / 2007.04.09
한옥의 미 1 / 서정호 저 / 경인문화사 / 2010.07.15
MBC스페셜 ‘한옥에 미(美)치다’ 살고 싶은 건강한 집 ‘한옥’ 생활기
[이용대상]
본문일부/목차
목차
1. 한옥의 역사
1) 한옥의 개념
2) 한옥의 시작
3) 한옥의 발전
2. 한옥의 구분
1) 신분층으로 구분
2) 지붕재료로 구분
3) 지붕형태로 구분
4) 몸채형태로 구분
5) 평면형식으로 구분
3. 한옥의 구조
1) 한옥 구조 개요
2) 한옥의 골격(뼈대)
본문내용
1. 한옥의 역사
1) 한옥의 개념
한옥(韓屋)이란 선사시대부터 이땅에 우리민족 고유의 기술로 지은 건축을 의미한다. 즉, 현대건축과 상반되는 개념의 용어이다. 우리는 한옥을 전통건축 또는 고건축(古建築)으로도 부른다. 한편 언제부터인가 한옥이 단순히 살림집으로만 한정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좁은 의미의 용어로 본래는 전통건축의 개념과 같은 한국의 전통집을 일컫는다.
2) 한옥의 시작 - 움집
한반도에는 개략 기원전 60만년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는데 이 시기를 구석기시대라고 한다. 이 시기에는 사람들이 동굴이나 야외에 임시 장치물 등을 설치하고 살았다.
제대로 집의 형태를 갖춘, 즉 한옥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집은 개략 기원전 6,000년경(신석기 시대 전기)부터 지어졌다. 이 시기에는 인간이 한곳에 오랫동안 머무는 집단생활을 영위하였는데 오늘날로 보면 마을의 출현을 의미한다.
이시기에 지어진 집을 움집, 또는 수혈주거(竪穴住居)라고 한다. 집의 형태는 원형둘레에 통나무를 비스듬히 세워 중앙 한곳으로 모은 원추형으로 외부에는 나뭇가지나 풀 등으로 지붕을 만들었다. 평면은 직경이 5m내외이고 집 바닥은 지반면과 같게 한것이 아니고 0.5~1.0m정도 낮게 했다. 집 내부에는 불을 피우는 화덕이 있고 곡식 등을 저장하는 원추형 토기 등을 바닥에 묻어두기도 했다.
움집의 평면형은 초기에는 원형이었으나 후기로 갈수록 옆으로 긴 네모진 방형으로 변했다. 방형구조는 원형보다 공간적으로 더 쓸모가 있고 또한 기둥을 일렬로 배열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도 안정이 된다. 즉 방형 평면이 원형보다 한층 진보한 구조이다.
4세기경의 주거지로 여겨지는 전남 함평 중랑유적지는 100여호가 넘는 대단위의 집단 취락지로 그 규모에 우선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주거 형태는 움집으로서 평면형은 주로 방형이다. 이 시기는 삼국시대가 시작된 시기인데 아직까지 지방 서민의 주거형태는 움집의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100여호가 집단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은 완벽한 커뮤니티가 형성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다.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