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역사] 세종대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와 그로인한 예술융성의 한계 / 세종대 예


카테고리 : 레포트 > 기타
파일이름 :[역사] 세종대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와 그로인한 예술융성의 한계.HWP
문서분량 : 8 page 등록인 : love
문서뷰어 : 뷰어없음 등록/수정일 : 09.08.14 / 09.08.14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0
판매가격 : 1,0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보고서설명
세종대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와 그로인한 예술융성의 한계 1. 세종대 전문...
본문일부/목차
세종대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와 그로인한 예술융성의 한계 ƒ. 세종대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 ƒ.1. 세종대 전문 예술인의 신분 조선시대 전기와 중기까지의 예술이란 지배계급, 즉 양반 중심의 것이었다. 따라서 예술 활동은 양반의 취미생활에 머물렀고, 전문적인 직업인으로서의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는 낮을 수밖에 없었다. 전문적인 악공은 무녀, 백정등과 마찬가지의 천민이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세종 43권 11년 3월 22일의 기록을 살펴보면 천민계급인 무녀, 그리고 양인 중에서 악공을 선발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조에서 계하기를, “봉상시(奉常寺)와 아악서(雅樂署)의 악공(樂工)은 제사 하나에 쓰이는 인원이 모두 1백 49명이요, 함께 합하여 제사하면 2백 98명이 소용되옵는데, 이 앞서 무녀(巫女)의 자질(子姪)과 양인(良人)의 정리(丁吏) 등으로 이에 속하게 하였으나, ...(중략)... 청컨대 원래 정원 2백 명에 1백 50명을 더하고, 구례에 의하여 무녀의 자질과 놀고 지내는 양민들로 나이 13세 이상 20세 이하 되는 자를 선택하되, 서울에서 30명, 충청도에서 30명, 전라도에서 35명, 경상도에서 40명, 강원도에서 15명으로 하고, 그 녹관(祿官)은 6품 부전악(副典樂) 1인, 7품 전률(典律) 2인, 8품 부전률(副典律) 3인, 9품 직률(直律) 3인을 늘여, 권장함을 보이도록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세종 82권 20년 8월 6일의 기록 역시 천민 계급 중에서 악공을 선발했음을 보여준다. 의정부에서 예조의 정문에 의하여 아뢰기를, “회례(會禮)에는 헌가 공인(軒架工人)이 1백 20명, 등가(登歌)가 64명, 교방 공인(敎坊工人)이 60명으로 총계 2백 44명이온데, 현재 도감(都監)에 소속한 악공(樂工) 2백 17명으로는 이미 부족한데다가, 또 갖가지 사고로 인하여 태반이 부족한 형편이오니, 비옵건대, 1백 27명을 증원하되, 보충군(補充軍)과 공·사의 비자(婢子)로서 ...
연관검색어
역사 세종대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와 그로인한 예술융성의 한계 / 세종대 예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