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GO! 리얼 그린 비즈니스] (2부-11)u에코시티 ②어떻게 구축되나


카테고리 : 레포트 > 기타
파일이름 :090714110517_.jpg
문서분량 : 1 page 등록인 : etnews
문서뷰어 : 뷰어없음 등록/수정일 : 09.07.13 / 09.07.13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0
판매가격 : 3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보고서설명
[GO! 리얼 그린 비즈니스] (2부-11)u에코시티 ②어떻게 구축되나
본문일부/목차
도시 관리기능을 제고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u에코시티는 도시생활의 편리성 향상에 최고 선으로 꼽힌다.
 u에코시티의 구축은 제일 먼저 컨설팅 작업부터 시작된다. SI업체 위주로 진행되는 이 작업을 거쳐 해당 단지에 적용될 유비쿼터스 기술과 생태환경 인프라 등이 완성된다.
 이후 실시 설계 단계에서는 건설사가 본격적으로 관여한다. u에코시티의 구체적인 밑그림이 그려지는 것이 바로 이 단계에서다. 다음에는 바로 발주로 이어져 토목공사가 진행된다.
 u에코시티의 핵심기술로는 인프라 구축 활용기술과 도시통합운영센터 관련 기술, 핵심전략기술 제품화 등이 꼽힌다. 이 밖에도 환경생태정보 구축 기술과 3차원 도시환경계획기법 및 평가기술, 에코 로드 조성기술, 유비쿼터스 물순환시스템 개발 등이 u에코시티 구축에 직간접적으로 응용된다.
 특히 u에코시티 구축의 핵심으로 꼽히는 것이 ‘도시통합운영센터’다. 이 센터는 u에코시티 내 통신망과 교통망·시설물·통합 단말기 등의 센서장치로부터 도시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분석해 도시를 효과적으로 운영·관리한다. 또 거주민이나 관련기관에 분석된 도시정보를 배포·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시 정보의 융합·통합·지능화 및 혁신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는 이 센터는 u에코시티에서 운영될 다양한 u서비스의 정보매체로의 유익한 정보를 ‘수집-가공-배포’하기 위한 수단이다. 반면에 개별적 콘텐츠 전달의 한계성 및 비경제적인 인프라 구축, 서비스의 중복 개발 등은 지양한다. 외부기관과의 유기적 연계 및 확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u에코시티의 핵심부문이 바로 도시통합운영센터인 셈이다.
 여기에는 수집된 정보의 융합과 분석, 그리고 시민과 정보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정보 제공 및 배포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 신규로 개발될 u에코시티 서비스에서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인증·보안·유무선 포털·DCD(Dynamic Contents Delivery)와 같은 기능을 u에코시티 통합운영센터에서 제공, 개별 u에코시티 서비스의 개발 기간 단축과 투자비 절감 및 표준화를 유도한다.
 도시통합운영센터의 또 하나의 주요 역할은 도시 내 u서비스의 운용 및 관리 기능이다. u에코시티 내의 전송망을 포함한 u서비스 인프라의 구성현황, 고장 관리, 서비스의 상태 및 품질을 모니터링하며, 서비스의 품질저하 발생 시 이를 즉각적으로 조치·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긴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 및 상황 분석을 할 수 있는 IT기반의 운용 환경을 기능을 제공하며 도시 기능의 수직, 수평적인 통합·연계를 위한 인프라를 제공한다.
 구체적 사례를 살펴보면, 화성 동탄의 도시통합정보센터는 u에코시티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해 신속한 상황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설계·구축했다. 또 운영자의 업무 편의와 법적 사항을 고려, 독립된 2개의 상황실을 배치했다.
 이 센터는 관제상황실과 방범상황실, 통합장비실로 구분되며 260평 규모 중 운영지원사무실, 대·소회의실, 관람실, 탈의실을 제외하면 상황실 내부는 약 55평의 규모다. 관제상황실에는 26식 멀티큐브를 2단으로 배치했으며 12식의 운영단말로 구성됐다. 방범상황실에는 20식 멀티큐브가 배치됐으며 최대 16분할 화면을 제공하는 17인치 운영모니터 18식을 설치했다. 통합장비실은 유닉스와 NT기반의 서버 74식과 저장장비 4식, 네트워크 장비 15식, 음향시스템, DVR 영상감시 및 중앙통제시스템, 항온항습설비 및 무정전 시스템을 설치해 운용한다.
 도시통합정보센터를 중심으로 한 u에코시티의 구축에는 도로법과 건축법, 전기통신법 등 관련 법규의 정비가 전제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 옛 도시의 주민들이 가질 수 있는 상대적 불만도 잠재워야 한다. 적잖은 운영비 역시 u에코시티 입주민에게는 부담이다. 특히 유비쿼터스 장비의 80%를 외산으로 사용하는 점은 조달 관행을 고쳐서라도 반드시 개선해야 할 사안이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연관검색어
[GO! 리얼 그린 비즈니스] (2부-11)u에코시티 ②어떻게 구축되나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