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SW)품질을 높이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SW품질을 유지하고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품질을 아무리 높여놔도 이를 관리할 주체나 관련 틀(정책)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유지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국내는 SW신뢰성 개선을 위한 품질 개선 노력은 지속하고 있지만 이를 관리할 주체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국가 차원에서 전문화된 SW연구소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관리가 힘들 것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특히,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해 SW품질 관리를 선진화해야만 SW강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SW품질을 관리하고 점검할 수 있는 전문가는 필수다. 이는 기업과 국가 모두에 해당된다. ◇SW강국, 품질 관리도 뛰어나=외국의 SW산업 경쟁력이 SW 자체의 힘에서도 나오지만 SW를 유지·관리·검증할 수 있는 기관이나 전문가의 유무에서도 갈린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SW선진국은 개발 단계만큼이나 검증 단계도 까다롭다. 1등 수준의 SW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시장인 셈이다. 그러나 이런 내부 경쟁을 거치며 살아남기만 하면 SW의 경쟁력은 무한대가 된다. 미국만 해도 SW가 국가 안보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국가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런 국가적 육성에는 SW품질 관리 전문가 부문도 존재한다. SW신뢰성 분석을 위해 품질 지표를 개발하고 신뢰성 평가기준 및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특히 과학·공학 교육 부문에 SW신뢰성 분야를 포함시켜 개발 단계에서부터 SW신뢰성을 검증받을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SW들은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인 검증을 거친다. 검증은 한 해에만 지속되는 것은 아니며 영속적인 과정을 거듭한다. SW 선진국인 인도도 마찬가지다. 인도는 SW 품질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세계 수준의 품질 인증 기준을 도입하고 있다. 이 인증 기준을 통과했을 때는 보조금과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정부기술부 국가정보센터 산하 STQC에선 품질 관리 시스템에 인증 및 교육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SW품질 관리 전문가가 탄생한다. 혹독한 검증 과정을 거치는만큼 이들이 검사하는 SW도 뛰어날 수밖에 없다. 중국은 인도를 벤치마킹하면서 상당히 발전했다. 아직은 한국 수준에 비해 다소 떨어지지만 각종 정책에서 SW품질 관리의 전략이 묻어난다. 다양한 품질 및 테스팅 관련 조직과 민간 테스팅 회사를 기반으로 한 품질 활동이 활발하다. 민간 테스팅 회사는 정부가 제공하는 일정 수준의 기준과 교육을 거친다. 결과적으로 정부가 SW품질 관리와 그 인력 양성을 책임지고 있는 것이다. ◇품질 관리가 비용 절감의 지름길=전문가들은 프로젝트 구상에서부터 품질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전담 조직이 있으면 프로젝트 초기부터 품질을 높이기 위한 접근이 가능하며, 후에 제품이 나온 뒤에도 책임 소지가 명확해진다. 우리나라도 현재 대기업을 위주로 품질 관리를 전담하는 팀이 별도로 구성돼 있다. 문제는 중소기업이다. 최근엔 품질팀, 테스트팀 등을 따로 마련하고 있는 추세지만 아직 일반적인 이야기는 아니다. 모든 측면에서 비용 절감의 압박을 받는 기업이 눈에 보이지 않는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따로 투자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품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비용을 절감하는 지름길이다. 품질 문제로 반복되는 오류나 비용 상승을 줄일 수 있다. 품질에 대한 인식이 확실하고, 개선 의지가 있다면 단기적인 비용 상승도 감내할 수 있어야 한다. 내부에 팀을 꾸리기 어렵다면 아웃소싱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테스팅을 도맡는 업체가 꾸준히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기적인 처방이라는 점에서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전문 인력 키워야=SW개발은 기업의 영역이지만 이를 테스트할 수 있는 신뢰성 지표 발굴은 정부의 업무다. 국가 경쟁력 확대를 위해 SW를 관리해야 한다는 의미다. 특히, △SW신뢰성 개선 △SW인력 교육 및 공급 △SW연구개발 및 재활성화 등은 정부가 앞장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다. SW품질 관리에서 가장 시급한 부분은 SW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기관을 육성하는 것이다. 현재 한국은 SW개발자 부족만큼이나 품질 전문가나 이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 부족하다. 대학 과정도 문제다. 국내는 SW를 연구하는 학교가 있지만 SW신뢰성 전문가를 키우는 곳은 전무하다. 특별히 관련 인력을 키우는 대학도 없고 그렇다고 대학이 아닌 전문 교육 기관도 많지 않다. 일부 기업에서 만든 사설 SW교육 기관이 전담하긴 하지만 교육 내용도 그렇고 문제가 많다. 그러나 이웃나라 일본만 해도 그렇지 않다. 일본은 SW 오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2004년부터 ‘산학연 소프트웨어 공학센터’ 등을 만들어 SW품질 개선에 힘쓰고 있다. 최병주 이화여대 교수는 “현장에서 최근 테스트 인력을 늘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대학은 다소 느린 편”이라며 “특히 일반적인 교육보다는 고급인력의 수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업계 영향력이 큰 정부가 나서 품질 관련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것이 산학 경쟁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개발과 동시에 관리도=한국 SW수준이 아직 궤도에 오르지 못한 이유는 SW개발 프로세스에도 문제가 있지만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은 새겨들을 만하다. 이에 지금부터라도 SW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내부적으로 치열한 경쟁을 거친 개발만이 해외에서의 성공을 담보한다. SW신뢰성 검증과 관련해선 국가가 지정하는 일정 수준의 교육 인증 체계가 필수라는 의견이 다수다. 민간 기관이 할 수 있지만 국가가 나서지 않으면 안 되는 일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SW시험인증센터의 성과는 주목할 만하다. 지난 2001년 문을 연 SW시험인증센터는굿소프트웨어(GS)시험인증서비스, 벤치마크테스트(BMT)서비스, SW테스트베드(오픈랩) 지원서비스 등을 실시하고 있다. GS시험인증서비스를 이용한 사례는 꾸준히 늘어 올해 4월을 기준으로 인증건수는 1010건, 시험건수는 2670, 컨설팅건수는 4285건에 달한다. 지난해 도입된 SW테스트 전문가 자격제도도 현재까지 6회의 시험을 거쳐 182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표 참조> 채흥석 부산대 교수는 “TTA에서 지난해부터 테스트전문가를 위한 자격증 제도를 운용하고 있고 이를 중소기업에서 활용하면 전체적으로 확산될 것”이라며 “회사에서 인센티브 주는 등 테스팅 인력을 인정해주면 더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공학 교육에서 관련 과목을 늘려야 한다. 사실 기관보다 학교에서 이를 검증할 수 있는 툴이 먼저 나와야 한다. 물론 이런 과정들은 정부가 앞장서서 평가하고 인력 수준을 점검해야 할 것이다. 해외 사례에서 볼 때 민간 수준의 검증이 필요하지만 관련 과정을 정부가 체크해야 수준 높은 서비스가 나오기 때문이다. 한정훈·차윤주기자 existen@etnews.co.kr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