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비정규직 문제
`세상이 싫어졌다. 누구를 죽이든 상관없었다.` 일본 사회가 잇단 `묻지마 살인`의 충격에 휩싸였다. 17명의 사상자를 낸 `아키하바라 무차별 살상사건`이 발생한 지 두 달도 지나지 않아 도쿄에서 또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다. 두 사건의 공통점은 피의자가 장래가 불안정한 파견노동자 신분이었다는 것이다. 일본은 95년 파견법을 완화한 이후 파견노동자 수가 급속하게 증가했다. 사건이 발생한 이후 날품팔이 파견직에 대한 일본 사회의 관심이 높아졌지만,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이런 종류의 사건은 앞으로도 계속 발생할 것이 분명하다. 한국 사회도 `남의 일`처럼 뒷짐 지고 구경할 처지는 아니다.
외환위기 직후 기업들의 구조개혁과 더불어 비정규직 고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비정규직 문제`가 한국 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비정규직 및 취약노동자들은 전체 노동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권리를 보호받지 못하고 생존권마저 박탈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정규직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한 `비정규직 보호법`은 노동자들의 `보호망`이 되어주지 못했다. 오히려 지난 1년 간 이 법으로 비정규직이 `보호`받은 것이 아니라 `양산`된 것이다. 비정규직을 보호하려고 만들었던 `기간제 근로자 사용기간 제한`과 `차별시정` 조항은 비정규직을 거리로 내몰았다. 비정규직 보호법이 시행된 이후 눈에 띄게 늘어난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이 이를 방증한다. 코스콤 노동자들은 고공시위를 벌이며 부당해고 철회를 요구했고, 기륭전자 노동자들은 80일 넘게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비정규직 보호법 제정 당시 `유연-안정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한다고 했다. 개념 자체는 노사가 윈-윈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하지만 지난 1년을 되돌아보면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늘어난 대신에 고용 안정성은 처참할 정도로 파괴됐다. 고용 안정성이 파괴된 이유는 일차적으로 사업주들이 법을 악용했기 때문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이를 막을 수 없는 `법적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