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뉴욕 필하모닉의 연주가 북한에 울려 퍼지고, 북핵 문제도 해결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북한의 전제 정권과 북한 주민들의 인권 문제는 국제 사회의 문제로 남아 있다. UN인권위원회는 2003년 이후 북한 인권결의안을 4년 연속 채택하고 있고, UN 총회에서는 ‘북한인권 상황에 대한 결의안’이 가결되었다. 또 부시 행정부는 2004년 10월 ‘북한인권 법안’을 정식 발효했다. 이처럼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관심과 압박은 날로 강화되고 있다. 북한 인권 문제가 국제사회에 대두된 배경에는 탈냉전 시대에 정치와 군사문제가 아닌 인권 문제가 공론화된 시대적 흐름이 자리한다.
반세기 이상 분단과 그로 인한 대결구도가 지속되어온 한국사회에서 ‘북한 인권문제’는 여타의 인권문제와는 다른 정치적의미를 가지고 있다. 북한 인권문제가 대북정책에 있어서 최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입장과 이것이 북한에 대한 주권침해라는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북한정권에 대한 정치적 시각차는 북한 인권문제를 ‘인권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대북전략에 대한 정치 논쟁의 장으로 끌어들이게 되고, 우리 사회에서 논의하는 북한 인권 문제는 그 어떤 인권 문제들 보다 강한 정치적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따라서 북한 인권 문제를 인권의 영역으로 환원시키기 위해서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경계를 넘어 다각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국제 사회의 북한 인권 결의안은 문제 해결보다는 비난정치의 성격이 짙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이나 중국과 같은 강대국의 인권 유린 사례에 대한 문제제기가 전혀 없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북한도 ‘인권 문제는 미국과 추종세력이 날조한 모략의 산물’이라는 태도를 보여 왔다. 따라서 북한 체제의 비판에서 문제를 접근하기 보다는 북한의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과 복지 등의 문제제기를 통해 인권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한 국가의 인권 상황을 다룸에 있어 그것은 실질적...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