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 등 산간지역에 주로 위치해온 풍력발전소가 바다로 옮겨가고 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태양광발전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풍력발전 입지가 육상(Onshore)에서 ‘해상(Offshore)’으로 빠르게 전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상의 한계=통상 건물 5∼6층 높이에 프로펠러의 날개 지름만 수십미터에 달하는 풍력발전기는 보는 것만으로도 위압적이다. 대관령·태백산·제주 등에 몰려있어 천혜의 풍광을 해친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내는 ‘윙∼윙∼’거리는 저주파 소음은 인근 주민은 물론, 축산농가에도 큰 피해다. 이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최근 민원인들의 집단 반발로 민간 풍력발전 사업 1호로 관심을 모았던 ‘난산 풍력’의 발전사업 허가권이 취소됐다. 경남도가 밀양 천황산 일원 16만8527㎡에 2300㎾급 규모의 풍력발전기 22기(5만600㎾)를 건설하려던 계획도 주민 반대로 무산 위기다. ◇해상풍력의 부상=해안에서 떨어진 깊이 10여미터 내외의 바다 위에 설치되는 해상풍력은 육상풍력의 단점을 상당부분 보완한다. 풍력 선진국인 독일이나 스웨덴·덴마크 등도 최근 해상풍력에 주력하는 양상이다. 우리나라도 오는 2014년부터는 해상풍력의 발전량이 육상풍력을 앞지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은 제주 앞바다에 2㎿급 풍력발전기 2기를 설치, 해상풍력발전실증단지를 조성중이다. 연구원은 내년 말 이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해상풍력보급활성화 정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현재 해상풍력 건설은 서남해안을 위주로 진행중이다. 인천시는 지난달 한화건설·한국남동발전 등과 함께 인천 무의도 서측 해역에 2.5㎿급 풍력발전기 39기를 설치하는 총사업비 4600억원 규모의 해상풍력단지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이 풍력단지는 오는 2012년 상용가동된다. 전남도는 포스코건설과 공동으로 2015년까지 2조5000억원 이상을 투자, 여수시 화양면 여자만 등 전남 서남해안 5곳에 풍력발전단지를 건설, 시간당 600㎿의 전력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도 최근 한국남부발전과 양해각서를 교환, 2020년까지 부산 앞바다에 350㎿급 해상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또다른 문제=해상풍력이 민원발생 소지가 적다는 잇점에도 불구, 극복해야할 과제가 적지않다. 박종포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개발팀장은 “유지보수를 위해 대형 해상크레인과 바지선이 동원돼야 해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며 “특히 해상용이기 때문에 염분에 강한 소재와 설계를 적용해야 한다는 점은 현재의 국내 기술로는 극복해야할 난제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해양생태계 보호와 인근 어민, 항로운항 선박들과의 원만한 합의도 관건이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