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태도 (송기숙)
“바다는 따가운 가을 햇살을 재재발기며 팽팽하게 힘이 꼬이고 있었다. 하늘도 째지게 여물어 탕탕 마른 장구 소리가 날 듯했다. 푸른 바다와 푸른 하늘이 맞닿은 수평선 위로는 뭉게구름이 한 무더기 탐스럽게 피어오르고 있었다.”
목포 서쪽 다도해상에 있는 암태도 앞바다는 송기숙(61)씨의 소설에서 묘사된 바와 여일했다. 비록 소설이 쓰여진 때로부터 16년여, 소설 속 상황으로부터는 70년 이상의 세월이 흘러 지나갔고, 달력은 아직 한겨울이라 할 2월 초에 머물러 있었지만, 가을과 겨울의 차이도, 16년 또는 70년의 거리도 그곳의 햇살과 물살과 하늘과 구름을 크게 바꾸어 놓지는 못했다. 다만, 실장어잡이를 위해 바다 위에 띄워 놓은 여러 십 척의 무동력 바지선들만이 여일한 풍경에 약간의 변화를 가져다 주고 있을 뿐.
겨울의 오전 7시30분. 목포항의 희붐한 여명을 뚫고 길을 나선 고속 훼리호는 1시간 30분의 항해 끝에 어김없이 암태도 남강 부두에 닻을 내린다. 부두에 대기하고 있던 암태운수 소속 지프형 택시에 타고 순식간에 집 대문 앞까지 당도한 동네 아주머니는 “아따, 빠르요, 잉. 폴쎄 와부렀소야”라며 벌어지는 입을 다물지 못한다. 소설 속에서 대여섯 시간씩 걸리기 일쑤였던 것에 비하면 과연 빨라진 것이다. 그토록 길고도 험한 뱃길을 수백명의 섬사람들이 목숨을 걸고 오고 갔던 70여년 전 그때, 이 곳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가.
1919년 3·1만세운동에 당황한 일제는 조선민족에 대한 지배 방식을 무단통치에서 `문화정치`로 바꾸었다. 헌병경찰제도를 없애고 보통경찰제도를 채택하며 교원과 문관들이 차고 다니던 칼을 풀도록 하는 등 문화정치의 표면적인 유화 제스처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조선에 대한 일제의 식민지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 본질은 조금도 바뀌지 않은 것이었다. 그럼에도 유화국면이 뚫어놓은 공간이 억눌린 겨레에게는 최소한의 숨쉴 구멍으로 기능한 것 또한 어김없는 사실이었다. 게다가 3·1운동을 거치면서...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