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문)唯識三十論約意世親菩薩 造唐三藏法師 玄 譯西蜀沙門 明昱 約意 호법(護法) 등의 보살은 이 삼십송 (三十頌)을 풀이하여 성유식론 (成唯識論)을 지었는데, 이제 삼십송 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자. 처음의 24행송(行頌)은 유식(唯識)의 상(相=모습)을 밝혔고, 다음의 1행송은 유식의 성(性=實性)을 밝혔으며, 나머지 5행송은 유식의 행위(行位=수행의 단계)를 밝혔다. 또 처음의 24행송 가운데 첫 1행 반은 유식의 상을 간략히 설명했고, 나머지 22행 반은 유식의 상을 상세히 설명했다. 외도(外道)가 묻는다. “만약 오직 식(識)만 있다면, 왜 세간의 사람들과 여러 성자들이 아(我)와 법(法)이 있다고 말하는가 ” 約意 ‘호법(護法) 등의 보살’이라 함은, 호법(護法)·친승(親勝)·화변(火辯)·법혜(法慧)·안혜(安慧)·난타(難陀)·정월(淨月)·승우(勝友)·진나(陳那)·지월(智月) 등 십대논사(十大論師)가 삼십송 을 이해하여 성유식론 을 지었음을 말한다. 이에 따라 이 송(頌)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그 주제를 드러내었다. 외도(外道)의 물음은 논의를 일어키려는 의도이다. 즉 만약 오직 식(識)만 있고 일체의 법(法)이 모두 없다면, 어떻게 세상 사람들과 성인의 가르침 가운데 모두 아(我)와 법(法)이 있다고 말하는가 송(頌)으로써 답한다. (1)由假說我法 有種種相轉 彼依識所變 此能變唯三 (2)謂異熟思量 及了別境識 아(我)와 법(法)을 가설(假說)함으로 말미암아 여러가지 상(相)이 나타난다. 그와 같은 상(相)의 나타남은 식(識)의 변화에 따른다. 이러한 식의 변화에는 오직 세 가지가 있으니, 이숙식(異熟識)·사량식(思量識)·요별경식(了別境識)이다. 약의 제1구인 ‘由假說我法’은, 아(我)와 법(法)을 가설(假說)하지만 진실로는 그 체(體)가 있는 것이 아님을 밝힘으로써 물음에 답하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외도(外道)의 질문자는 아와 법이 진...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