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페이지 미만은 미리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
기타
-
우리나라 IT 논문, KAIST가 1위
-
071130110628_.jpg
-
등록인 etnews
-
등록/수정일 07.11.29 / 07.11.29
-
문서분량 1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3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우리나라 IT 논문, KAIST가 1위
- 본문일부/목차
- 지난해 국제 과학인용색인(SCI)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우리나라 정보통신 논문 수가 2574건으로 2002년 대비 51.7%가 늘어 세계 평균 증가율인 22.1%를 크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가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발표한 SCI급 누적 논문 수가 각각 1593건, 1331건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추월하는 등 국내 미래 IT 성장동력 발원지가 넓어지는 추세다.
29일 본지가 입수한 정보통신부 ‘IT839 전략회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SCI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세계 정보통신 논문 6만4515건 가운데 4%인 2574건이 우리나라에서 발표됐다. 이는 지난 2002년(3.2%)보다 0.8%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우리나라 IT 논문의 세계 산·학계 영향력이 실질적으로 증대했다는 게 정통부 평가다.
과학기술 논문 가운데 정보통신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의 세계 평균이 6.3%에 불과하나 우리나라는 11.2%에 달해 IT로 특화·집중됐음을 방증했다. 이처럼 SCI급 과학기술 논문 중 IT를 따로 계량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관별 누적(2002∼2006년) 논문 수로는 KAIST, 서울대, ETRI(902건)에 이어 △삼성전자 800건 △연세대 752건 △고려대 589건으로 집계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투자(정보통신진흥기금)해 개발한 IT료 수입도 지난 2003년 297억원에서 지난해 552억원으로 같은 기간 국내외 등록 특허 수도 548건에서 1956건으로 크게 늘었다”며 “‘IT839’ 성과와 미래 성장 기반(논문·특허 등)을 바탕으로 삼아 기초·원천·융합에 초점을 맞춘 새 중장기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
- 연관검색어
-
#우리나라 IT 논문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