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페이지 미만은 미리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
기타
-
KCTA, 지상파 중간광고 명분없다
-
071113103121_.jpg
-
등록인 etnews
-
등록/수정일 07.11.12 / 07.11.12
-
문서분량 1 페이지
-
다운로드 1
-
구매평가
판매가격
3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KCTA, 지상파 중간광고 명분없다
- 본문일부/목차
- 꾸준히 흑자를 내는 지상파방송에 중간광고를 허용하는 것은 매체간 불균형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디지털 방송 전환과 방송시장 개방에 대비해 지상파방송보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를 더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KCTA, 상근부회장 박원세)는 12일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허용에 대한 반대 입장 성명을 발표하고, 방송위원회가 내세운 도입 근거인 △다매체시대 신규매체 성장으로 인한 방송환경 변화 △지상파방송의 디지털전환 및 공적 서비스 구현을 위한 안정적 재원 확보 △방송시장 개방에 따른 방송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해 반박했다.
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신규 매체가 성장했다고는 하지만 2006년 기준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이하 PP)의 광고매출액은 7,181억원(180개사)인 반면 지상파방송은 2조4,676억원을 기록해 2대 8의 독과점 상태”라고 밝히고 “시청점유율로 보면 5.6대 4.4일 정도로 대등한 수준인데 지상파방송 위주의 방송광고 판매제도로 인해 왜곡된 구도가 유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디지털전환 및 공적 서비스 구현 재원확보’에 대해서도 시청자 채널선택권 및 다양한 방송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복지향상을 위해서는 PP의 디지털전환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열악한 PP의 디지털전환을 위한 근본적 지원정책도 필요한데 광고시장을 지상파에 몰아주려는 것은 현실을 더 왜곡시킬 뿐이라고 지적했다.
한미FTA로 개방될 방송 환경으로 인해 지상파가 아닌 PP시장이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됐다. ‘방송시장 개방에 따른 방송산업 경쟁력 강화’ 라는 근거로 단순히 지상파만을 위한 중간광고를 허용하는 것은 정책의 일관성도 없고 시기도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디지털방송시대는 수백개 채널이 시청 가능한 다매체·다채널 시대로 단지 지상파 4개 채널만으로는 시청자의 요구를 채울 수 없다”며 “진정한 수용자 복지는 PP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근본적인 육성·지원이 이뤄질 때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태권기자@전자신문, tkkim@
- 연관검색어
-
#KCTA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