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이 구체적인 현황 파악도 안 돼 어떤 문제부터 해결할 지 방안을 찾는 것도 쉽지 않다. 디지털방송시대로 가는데 문제가 없는지 중간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강제 가능할 것인가 의문=국회에 계류중인 디지털전환특별법은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종료일을 2012년 12월 31일로 못박았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국민들이 거부감을 느끼고 있으며 강제적인 정책은 위헌적인 소지를 담았다고 우려감을 드러냈다. 단지 이때쯤이면 디지털수상기가 거의 보급될 것이라는 추정하에 이뤄진 종료일이기 때문이다. 올초 지상파 방송사들이 여론 조사를 한 결과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의 종료 시기를 인지한 시청자는 26% 수준에 불과했다. 이러한 낮은 인지도가 결국 막판에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지적이 국회 국정감사에도 여러번 제기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디지털전환이 시청자에게 어떤 이익이 있으며 향후 국민들을 어떻게 설득할 것인가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없었다”며 “대책없이 밀어붙인다면 걷잡을 수 없는 반발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신뢰할만한 조사 없어=국내 디지털TV 보유가구에 대한 명확한 조사가 전무했다. 대략적으로 25%가 디지털TV를 보유했다고 추정할 뿐이다. 디지털전환 중인 대부분의 국가가 정기적인 가구 보급률을 제시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가전사의 수상기 판매댓수에 의존한 판매율을 발표하는 수준이다. 결국 이같은 부실한 조사는 아날로그 방송 종료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전환 비용도 신뢰할 만한 수치가 없다. 일부 전환비용이 부풀려져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수치가 결국 최근 KBS의 수신료 인상, 중간광고 허용, 광고 단가 인상 등을 주장하는 빌미가 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저가형 컨버터 보급 늘려야=시민단체와 셋톱박스업체는 기존 아날로그TV로 디지털을 볼 수 있는 컨버터의 구입을 촉진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금과 같은 고화질 일체형 TV중심의 전환정책은 소비자의 부담을 늘려 디지털전환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일본 전체 지상파 디지털방송 수신기 댓수 약 2526만대 중 492만대는 기존 아날로그TV에 셋톱박스로 연결됐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선 이러한 셋톱박스를 개발해 판매하는 업체가 디지털월드 한곳 뿐이다. 디지털월드의 한 관계자는 “저렴한 컨버터의 구입을 통한 디지털수신방법을 정부가 안내해야 하며 고가인 일체형 평판TV 중심의 디지털전환정책도 수정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권상희기자@전자신문, shkwon@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