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교육 특수학교 전환교육모델 특수학급 특수학습 / 강병관(1990). 정신지체아 직업교육의 문제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기태(2000). 시각장애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봉수(2000).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연화(2000). 중학교 특수학급 운영체제에 대한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인식수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대(1996). 시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정책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호(1999). 장애아 전환교육을 위한 인지-행동훈련기법의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 특수교육연구, 제6집, 117-132.
김진호(2001). 전환교육의 이론과 적용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 35권 제 4호, 73-98.
김형일(1995). 대인문제해결훈련이 정신지체인의 직업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금숙(2000).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및 전환교육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문화 외(2000).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개선
본문일부/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Ⅱ. 우리나라 전환교육연구의 동향
1. 전환교육모델에 대한 검증 연구
2. 전환교육의 현실화 방안 연구에 대한 고찰
Ⅲ. 논 의
1. 우리나라 전환교육 연구의 제한점
2. 새로운 전환교육연구모델의 개발
특수교육에서 전환(transition)이란 ‘아동을 한 서비스 요소 혹은 전달체계에서, 다른 서비스 요소 혹은 전달체계로 이동시키거나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정의된다(Lerner, Lowenthal, & Egan, 1998). 이러한 전환은 특수 교육대상자가 아니더라도 아동들이 성장하면서 겪게되는 필수적인 과정이나 특수교육 대상자들은 이러한 과정이 다른 아동들에 비해 쉽지 않다는 것이 1980년대부터 차츰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미국에서는 1984년에 특수교육 및 재활서비스국(OSERS)에서 장애학생들이 학교에서 직업사회로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교에서 직업으로의 전환교육(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여 전환교육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그 후 전환교육이 직업뿐만 아니라 거주적응과 사회생활영역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어, “장애인들이 직업재활을 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모든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는 교육과정(an outcome-oriented process encompassing a broad array of services and experiences that lead to employment)”이라고 정의하는데에서, 모든 성인생활 영역을 포함하는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 life” 용어로 발전되었다(김진호, 2001).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