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베르킬리우스의 작품과 평가


카테고리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파일이름 :PubliusVergiliu.hwp
문서분량 : 6 page 등록인 : CPIA_amino
문서뷰어 : 한글뷰어프로그램 등록/수정일 : 07.05.50 / 09.12.29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0
판매가격 : 1,1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보고서설명
인물 베릌기리우스의문필활동 베르킬리우스의작품 / 아이네이스 1 : P. 베르길리우스, 서정택 역, 한국문학사, 1976
희랍라틴문학연구 : 인문과학연구소 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3
Virgil's Pastoral Art : Michael C. J. Putnam, Princeton Univ. Press, 1970
An Introduction to Virgil's Aeneid : William A. Camps, Oxford Univ. Press, 1969
The Georgics of Virgil : L.P. Wilkinson, Cambridge Univ. Press, 1969
Virgil : Terrot R. Glover, Methuen, 1969
Virgil's "Aeneid"A Critical Description : Kenneth Quinn, Routledge & Kegan Paul, 1968
Harvard Lectures on the Vergilian Age : Robert S. Conway, biblo & Tannen, 1967
Virgil : R. D. Williams, Clarendon Press, 1967
Wege zu Vergil : Hans Oppermann (hrsg.), Wissenschaftl. Buchgesellschaft, 1966
Recent Work on Vergil, 2 vol. : G.E. Duckworth, 1964
VirgilA Study in Civilized Poetry : Brooks Otis, Clarendon Press, 1963
The Aeneid of Virgil : Thomas E. Page, 1894-1900

()
본문일부/목차
1. 개요

2. 정치적 배경

3. 문필활동

4. 영향과 평가 문필활동

흔히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으로 전해져 온 시집 〈아펜딕스 베르길리아나 Appendix Vergiliana〉에 실려 있는 시들 중 몇 편은 그가 쓴 초기 시인지도 모르나, 대부분의 것은 그의 작품으로 보이지 않는다. 확실히 그의 것인 최초의 작품은 10편의 시들로 구성된 〈전원시 Eclogae〉(BC 42~37)이다(이 10편의 '에클로가'[선별된 짧은 시를 뜻함]로부터 후세에는 전원시 전체를 에클로그라고 일컫게 됨). 이 시들 중 일부는 그리스의 시인 테오크리토스(BC 280경 활동)풍으로 아르카디아의 목가적인 전원을 그린 도피적인 작품인데, 테오크리토스의 것보다 한층 더 비현실적이고 양식화된 세계를 보여준다. 그것들은 목동들이 양지바른 곳에서 그들의 단순한 기쁨을 노래하며 상투적인 비애조로 불행한 연애나 갑작스런 죽음 때문에 생겨난 슬픔을 읊조리는 상상적인 세계의 이상화된 상황을 유창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일부는 직접적으로 또는 비유적으로 목가적인 세계를 현실세계에 접근시킴으로써 전원시라는 장르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작품들이다. 목동들의 왕 다프니스의 죽음을 노래한 제5전원시는 그 얼마 전에 있었던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과 분명 어떤 관련이 있으며, 제10전원시는 정치가로서도 높은 지위에 있던 동료 시인 갈루스를 목가적인 세계로 끌어들이고 있다. 제1전원시와 제9전원시는 목동들이 농장에서 쫓겨나는 데 대한 비탄의 노래인데, 이는 베르길리우스 자신의 체험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BC 42년 필리피 전투 뒤에 안토니우스와 훗날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되는 옥타비아누스의 퇴역 군인들을 재정착시키는 과정에서 그는 세습농지를 잃게 되었다. 뒤에 그는 세력가 친구들의 도움으로 땅을 되찾았다고 한다. 어쨌든 문제된 것이 시인 자신의 농장이든 주위 사람들의 농장이든, 그 시들이 베르길리우스의 개인적 체험과 결부된 것만은 확실하며, 거기에는 베르길리우스 특유의 것으로 간주되는 비통한 어조로 박탈당한 자의 슬픔이 표현되어 있음).

당대 상황과 연관있는 작품으로 특히 두드러지는 것은 제4전원시(이 작품은 훗날 그리스도에 관한 예언으로 해석되어 '메시아적 전원시'라고도 함)이다. 이 고결한 시는 죄악을 몰아내고 평화를 회복시켜 황금시대를 돌이킬 한 아기의 탄생을 낭랑하고 신비적인 언어로 예고하고 있다. 이것은 분명 내전의 암운이 감돌기 시작하던 무렵에 씌어졌을 것이며 그 집필 연대는 BC 41~40년으로 확실시 된다. 베르길리우스는 삼두정의 세 집정관 중 하나였던 안토니우스와 그의 아내 옥타비아(옥타비아누스의 누이) 사이에 태어난 아기를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시는 특정한 역사적 배경을 넘어서 상징적인 차원에서 세계 평화의 전망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아우구스투스 때에 어느 정도 실현될 것이었다.

연관검색어
인물 베릌기리우스의문필활동 베르킬리우스의작품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