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릿글
Ⅱ. 고대국어 연구의 선결문제
Ⅲ. 고구려말의 음운체계
Ⅳ. 차자표기의 구체적 분석
Ⅴ. 고구려말의 어휘와 특징
Ⅵ. 맺는 글 그러면 실제 자료를 통해 삼국의 언어를 서로 다른 개별 언어로 볼 수 있는지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우선 이기문(1968)과 박병채(1968)에서 분석된 고구려말 어휘자료들에는 중세국어와 이어진다고 본 어휘가 각각 44%, 68%였다. 이기문(1968)에서는 고구려말 76개 어휘 중 31개 어휘를 중세국어와 대응시키고 있으며, 박병채(1968)에서는 63개 어휘 중 41개의 어휘를 중세국어와 연관시켜 설명하고 있다. 서로 중복되는 것을 빼고 두 분의 것을 모두 합하면 고구려말에 대해서는 모두 93개 어휘가 지금까지 논의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중세국어와 연관시킨 어휘 중에서 이기문님에게 없고 박병채님에게 있는 어휘는 18개이며, 두 분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고구려말 어휘는 93개 중 50개가 중세국어와 대응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금까지 논의된 셈이다. 이는 오히려 삼국의 언어가 공히 중세국어에 이어지고 있다는 증거가 되며, 단일어라는 전제가 없이는 설명될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당시의 언어상황을 기록으로 전하고 있는 중국 사서들의 기사에서는 삼국의 언어가 방언 이상의 차이를 가지지 않았음을 증언하고 있다. 먼저, 고구려에 대한 중국측 기록은 부여와 그 언어가 같았음을 증언한다.
“(고구려는)… 동이족들이 서로 전하기를 부여의 별종인 까닭에 언어와 법제가 많이 같다고 한다.” 東夷相傳以爲夫餘別種, 故言語法則多同.<후한서85-고구려>
“동이의 옛말에 부여의 별종이라 해서 언어와 여러 일들이 부여와 더불어 많이 같다.” 東夷舊語以爲夫餘別種, 言語諸事, 多與夫餘同.<삼국지30-고구려>
“언어와 여러 일들이 부여와 많이 같은데, 그 성질과 의복은 다른 데가 있다.”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其性氣衣服有異.<양서54-고구려>(「남사」에도 같은 내용)
이로써 고구려와 부여의 언어가 같았음이 중국인의 눈에서도 확인된 바, 이것은 사실로 받아들여도 좋을 것이다.
또한 옥저에 대한 기록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찾을 수 있다.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言語食飮居處衣服有似句驪.<후한서85-동옥저>
“그 언어는 고구려와 더불어 대부분 같고 때때로 약간 다르다.” 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삼국지30-옥저>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