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화 版畵 printmaking 판화의역사 판화의종류 / 한국현대판화 Ⅲ : 윤명로 편, 미술공론사, 1991
판화 : 구자현, 미진사, 1989
판화세계 : 한운성, 창미, 1984
풍경 : G. 바슐라르, 이가림 역, 열화당, 1983
판화기법 : J. 로스·C. 로마노 공저, 서승원 역, 신도출판사, 1982
한국판화드로잉 대전도록 : 국립현대미술관 편, 고려서적, 1980
판화의 기법(미술기법시리즈 11) : 이경성 편저, 미조사, 1980
Print Reference:A Selected Bibliography of Print-Related Literature : Joan Ludman·Lauris Mason (comps.), 1982
Graphic Art of the Pre-Impressionists : Michel Melot, 1981
Printmaking:History and Processes : Donald Saff·Deli Sacilotto, 1978
The Technique of Fine Art Lithography rev. ed. : Michael Knigin·Murray Zimiles, 1977
Printmaking : Gabor Peterdi, 1971(reissued 1980)
Graphic Arts of the Twentieth Century : Wolf Stubbe, 1963
The Art of Etching : E. S. Lumsden, 1929(reprinted 1962)
A History
본문일부/목차
1. 개요
2. 판화의 종류
3. 판화의 제작
4. 판화의 역사
5. 현대 판화
6. 한국의 판화
7. 참고문헌 한국의 판화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인쇄문화가 발달했고 신라 750년(경덕왕 9)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본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선진적인 인쇄기술은 불교의 발달과 함께 더욱 진보되었는데 고려초에 이미 목판인쇄경과 함께 소형의 다라니경판화가 제작되었다. 고려시대의 판화 유품으로는 1007년 총지사(摠持寺) 개판의 〈보협인다라니경〉, 권수의 변상판화, 11세기경의 〈어제비장전판화 御製秘藏詮版畵〉 등 다수가 전해진다. 이 시대에 간행된 예수시왕경판화·화엄경판화 등은 고려의 대장경 제작에 따른 뛰어난 기술축적에서 이룩된 것으로 고려 불화 및 일반 회화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교사회인 조선시대로 오면서 판화제작이 더욱 다양해졌지만 역시 불교판화는 17세기에 성행하다가 18세기에 갑자기 위축되었다. 해인사 소장의 〈석가고행도 釋迦苦行圖〉(1501)·〈아미타삼존도〉는 일반 불화의 형식을 지닌다는 점에서 주목되며, 그밖에도 석씨원류(釋氏源流) 화엄경판화, 금강경판화,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판화 등이 많이 제작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적인 내용의 판화가 광범위하게 제작되었는데 〈입학도설 入學圖說〉(1425)·〈삼강행실도 三綱行實圖〉·〈이륜행실도 二倫行實圖〉(1730)·〈오륜행실도 五倫行實圖〉(1797) 등에 나와 있는 판화들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밖에 풍속·무예·천문·지리 등을 나타내는 판화도 많이 제작되었다. 근대 이전의 우리나라 판화는 주로 종교나 국가 이념의 교화수단으로 쓰였다.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