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백세주 성공사례


카테고리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파일이름 :백세주성.hwp
문서분량 : 14 page 등록인 : CPIA_feel4026
문서뷰어 : 한글뷰어프로그램 등록/수정일 : 07.05.50 / 09.12.29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3
판매가격 : 1,4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보고서설명
백세주 소비자행동 광고전략 국순당 / 소비자 행동론 강의 노트 (교수 ...)
소비자 행동론 ,법문사 - 이학식 외 2명
소비자 행동론 , 대교 - 최낙환 저
국순당 마케팅....아무개... 인터뷰
마케팅을 위한 소비자 심리학, 율곡출판사 - 황의록, 김완석 역
마케팅 관리, 도서출판 석정 - F. Kotler (국문판)
"신 광고심리", LG애드 - 타나카히로시ㆍ마루오가효시토 공저, 김성원등 역(1993)
국내의 주류(酒類) 트렌드 (황인홍 / 제일기획 마케팅연구소 대리 (제일기획사보 기재))
대한주류공업협회 홈페이지 http://www.kalia.or.kr/
국순당 홈페이지 http://www.ksdb.co.kr/
국세청 홈페이지 http://www.nts.go.kr/
식품음료신문 http://www.thinkfood.co.kr
한국의 전통주 http://chailemon.hihome.com/
한국갤럽 http://www.gallup.co.kr/
첨부 #1. 국내 주류 시장 판도 변화 (기사)
첨부 #2. 전통주 브랜드 파워 조사 보고
첨부 #3. 한국인의 음주 지표 - 라이프 스타일
기타 신문기사
2002/12/4 경향신문 - 전통주 도수 제한 없앤다
2002/12/4 매일경제 - 전통주 알코올 도수 규제
본문일부/목차
PART.Ⅰ

백세주 (성공사례)
1. 백세주(국순당)
(1) 국순당 (2) 백세주 제품 설명
(3) 백세주 제품 범주 (4) 백세주 출시 이후 과정
(5) 백세주 매출 현황

2. 국내 주류시장 소비 트랜드
(1) 국내 주류 시장 트랜드
(2) 건강 트랜드 (3) 백세주 출시 배경

3. 성공요인 분석 (소비자 행동)
(1) Positioning
① 소비자 트랜드 분석 ② 포지셔닝
③ 백세주 광고 전략

첨부 #1. 국내 주류 시장 판도 변화
첨부 #2. 전통주 브랜드 파워 조사 보고
첨부 #3. 한국인의 음주 지표 - 라이프 스타일

(2) 다양한 마케팅 전략

4. 백세주 향후 전망
백세주 (성공사례)
1. 백세주(국순당)
: 지난 1992년 백세주가 처음 시장에 나왔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통주인 백세주의 성공에 대해 낙관
적이지 못했다. 지금 백세주를 즐겨찾는 사람들 역시 1992년 출시 당시의 백세주를 기억하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백세주는 시판 10년 만에 자타가 공인하는 전통약주시장의 대표주자로 변신했으며
점점 외면되어 가는 한국의 전통주를 대중화 시키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1997년 이후
한해도 거르지 않고 연간 50%의 매출 신장을 기록하고 있다. 백세주의 성공으로 "국순당"은 전통술
업체 최초로 벤처기업 지정, 코스닥 상장 등 수많은 뉴스거리를 양산해내기도 했다.

1) 국순당
대표이사 : 배중호 (주소: 경기도 화성군 봉담면 수영리403)
설립일 : 1970년 4월 1일
종업원수 : 149명
유통망 : 전국 57개 독자 유통망 (도매점)
자본금 : 7백 80억원
주요사업 : 알콜도수 20도 이하의 발효주 생산업체 / 백세주, 이조흑주, 흑주, 쌀막걸리 등.

연관검색어
백세주 소비자행동 광고전략 국순당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