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테마기획]HCI 기술 현재와 미래


카테고리 : 레포트 > 기타
파일이름 :20070209.jpg
문서분량 : 1 page 등록인 : etnews
문서뷰어 : 뷰어없음 등록/수정일 : 07.02.08 / 07.02.08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0
판매가격 : 3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보고서설명
[테마기획]HCI 기술 현재와 미래
본문일부/목차
사람과 사람의 대화는 매우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기분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악수를 통해 친밀감을 느끼면서 말로 대화를 이어간다. 또 다양한 제스처를 사용하고 필요할 경우 그림을 그려가면서 상대방에게 정확히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과 기계 사이의 대화는 매우 제한적이다. 단순히 미리 정해진 역할을 하는 버튼을 눌러 기계와 대화를 시작하고 기계는 자신의 작동 상황을 경고음 혹은 경고 불빛을 통해 나타낸다.
 HCI(Human Centric Interface)는 인간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사람과 기계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사람과 사람 사이처럼 자연스럽게 해주는 휴먼 인터페이스에 속한 모든 기술을 뜻한다. 최근 정보단말기는 휴대폰, 노트북, PC뿐만 아니라 MP3플레이어, PDA 등으로 다양화했으며 하나의 기기에 휴대폰, PDA, MP3플레이어, 카메라 등의 복합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더욱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2000년 새 천년을 열면서 향후 10년 동안 10대 중요한 기술의 하나로 휴먼인터페이스 기술이 선정된 바 있다. 빌 게이츠도 미국 내의 전산 전공 대학교에 있었던 강연에서 MS의 윈도에 버금갈 만한 차세대 기술분야는 현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휴먼 인터페이스 분야에서 나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 사람한테 가장 편리한 인터페이스는 어떤 것일까.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공학자보다는 공상 소설이나 영화가 제시한다. ‘스페이스 오딧세이 2001’이라는 공상소설에서 나오는 할(HAL)이란 컴퓨터는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를 할 수 있다. 스타워즈에 나오는 C-3PO, R2-D2 등의 로봇도 대표적인 HCI 연구분야의 비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비교적 최근에 나온 영화로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톰 크루즈가 컴퓨터를 자연스럽게 작동시키는 방법도 HCI 연구분야의 목표 중 하나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공학자들이 현재 연구하고 있는 기술추세는 다음과 같다.
 ◇키보드 및 마우스의 진화=현재 컴퓨터와 인간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와 마우스는 단말기가 작아짐에 따라 키보드를 터치스크린 안에다 표시해서 입력을 하거나 접을 수 있는 단말패드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해 임의의 작업공간에 가상의 자판을 만들고 손으로 자판 키보드를 누르면 자동적으로 자판을 인식하는 방안도 고안됐다. 올해 CES전시회에 출품돼 신기술분야 수상을 한 바 있다.
 또 마우스가 3차원 공간상에서 움직이더라도 속도변화를 감지해 2차원 평면상의 움직임으로 전환시켜 주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했다. 이 마우스는 ‘자이로’ 기술을 이용했는데 마우스를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이면 움직임의 변화를 ‘자이로’가 인지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진화=입력방식 고도화 기술 중 대표적인 것이 기존의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입력 방식의 진화다. 대부분의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에서 한 번의 터치만을 인식하는 싱글터치 스크린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멀티터치스크린을 사용해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멀티터치스크린이란 뉴욕대에서 개발돼 애플이 특허를 출품한 기술로 터치패드에 여러 개의 손가락을 동시에 터치하더라도 각각의 다른 입력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확대, 축소 및 이동 등을 손가락 하나만 활용해 쉽게 할 수 있다.
 이를 채택한 대표적인 제품이 지난 1월 초 맥월드 전시회에 선보인 애플의 아이폰이다. 이 제품을 활용하면 아이폰으로 찍은 사진첩을 트럼프를 가지고 놀듯이 양 손가락을 사용하여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로 펼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를 이용해 아이폰을 어떤 방향으로 돌리더라도 사용자는 화면을 항상 위, 아래로 같은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최근에 KTF에서도 비슷한 DMB 전화기를 출시한 바 있다.
 ◇음성인식, 합성기술의 활용=단말기가 소형화되고 단말기에 저장돼있는 내용을 검색하기엔 전화기 버튼의 사용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단말기가 출시됐다. 최근에는 음성인식 기술 성능이 개선돼 단문문자메시지(SMS)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도 나왔다. 삼성전자에서는 2005년 VST(Voice Signal Technology)란 미국회사와 협력해 음성인식을 통해 영어 SMS를 전달할 수 있는 휴대폰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미국 음성인식 전문회사인 뉘앙스(Nuance)사는 음성인식기능을 활용해 SMS를 보낼 때 사람이 보내는 것보다 빠르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미국에서 문자입력 분야의 기네스북 최고 기록 보유자와 경쟁하는 이벤트까지 진행했다(결과는 뉘앙스가 이겼다). MS도 PDA를 활용해 음성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SW를 개발하기도 했다.
 ◇다양한 센서기능 추가=단말기에 센서를 부착해 다양한 기능을 하도록 하는 추세도 있다. 즉, 간단한 당뇨키트 등을 부착해 당의 양을 측정한다거나 GPS 센서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선보였다. 단말기에 GPS 센서가 부착됨에 따라 텔레매틱스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해 UCC 영상 등을 서버로 이동시킬 때 위치가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출력장치로 촉각(haptic)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도 나왔다. 대표적인 것이 MS의 X박스360이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게임의 현실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진동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게임 제어기에 집어넣었다. 실제로 이 기능을 제공한 후 화질 개선에만 역점을 둔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3(PS3)에 비해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니모달에서 멀티모달로 진화=멀티모달(multi-modal) 인터페이스란 사람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좀 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도록 해 주는 방식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음성, 필기체, 제스처 등을 사용한 입력이 가능하고 출력방식으로 기존 그래픽 방식 이외에 음성, 음악 등도 가능하다. 멀티모달의 의미는 입출력 수단으로 하나의 방식만을 사용하는 유니모달(uni-modal) 인터페이스가 진화해 다양한 입출력 방식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휴대폰을 사용해 인터넷을 검색할 때 음성입력이나 스타일러스펜으로 터치패드상에서 필기체 문자를 입력하는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과 필기체 인식, 혹은 키패널 등을 활용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두 가지 이상의 입력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안의 환경을 나타내는 출력장치에서 안방에 있는 전등을 표시하는 이모티콘을 스타일러스펜으로 누르면서 동시에 “불 켜”라고 말하면 안방의 전등의 불이 켜지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움직이는 동영상에서 특정부위를 스타일러스펜 등으로 가리키면서 확대라고 말하면 그 부위를 중심으로 화면이 확대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앞으로 전개될 HCI 추세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http://www.w3.org)를 통해서 알 수 있다. W3C는 월드 와이드 웹을 개발한 팀 버너스 리가 창시했으며 차세대 웹을 연구하는 컨소시엄이다. 이 컨소시엄에서 전망하고 있는 차세대 HCI 방향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플랫폼화=W3C는 향후 휴먼인터페이스 기술은 멀티모달 인터페이스가 될 것이고 이것은 플랫폼에 의해 구현될 것으로 가정한다. 미래 인터페이스는 HTML 대신 XML을 사용하고 다양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브라우저를 통해 구현된다. 이 브라우저에는 센서 정보 해석기, 음성 인식, 합성기 등의 복잡한 기능도 포함될 것이다. <그림 1>은 현재 W3C에서 제안되고 있는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보면 입력(Input)은 멀티모달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키보드, 마우스뿐만 아니라 음성, 필기체 인식 또는 다양한 센서입력도 포함하고 있다. 출력은 그래픽, 음악뿐만 아니라 센서값에 의해서 작동되고 있는 기기(actuator)도 포함된다.
 ◇ 상황인지 기술과의 결합=앞에서 기술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용 브라우저가 구현되면 누구나 쉽게 UI(User Interface)를 설계할 수 있게 돼 더욱 똑똑하고 개인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가 증대될 것이다. 똑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지능을 부여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황인지 기술이 사용될 것이다. 상황인지 기술이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입력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최적의 솔루선을 찾아주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아침 9시에 모닝콜을 단말기로 정해 놓았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오전 시간의 스케줄 정보 및 날씨, 트래픽 정보를 활용해 모닝콜이 울리는 시간이 8시 30분, 혹은 8시 등으로 자동 변화가 가능하다.
 <그림 2>는 멀티모달 기술과 상황인지 기술이 합쳐진 단말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휴먼인터페이스 기술은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제품에 포함돼 제공되는 기술이다. 최근의 상품의 성공 전략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지향 추구가 성공여부라고 한다. HCI 분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야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휴먼 인터페이스는 기술이라기보다는 고객의 성향을 반영하는 장이 돼야 한다. 그래서 공학자의 전유물이라기보다는 마케팅, 심리학자,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의견에 항상 귀를 기울여야 하는 분야일 수밖에 없다.

◆구명완 KT 미래기술 연구소 HCI 연구 담당상무 약력
1982년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1985년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 석사
1991년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 박사
1985년∼현재 KT 미래기술 연구소 HCI 연구담당 상무
1996∼1997년 미국 벨연구소 객원 연구원
현재 대한음성학회·음성과학회 부회장, 한국음향학회 상임이사, 언어음성산업협의회 부위원장
한국중앙전산 경진대회 대통령상(1996), SW유공자 국무총리 표창(2004), 한국 음향학회 학술상(2006) 수상
연관검색어
[테마기획]HCI 기술 현재와 미래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