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페이지 미만은 미리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
기타
-
10월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급증
-
2006110.jpg
-
등록인 etnews
-
등록/수정일 06.11.07 / 06.11.07
-
문서분량 1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3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10월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급증
- 본문일부/목차
-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이트가 급증했다.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는 7일 ‘10월 인터넷침해사고 동향 및 분석 월보’을 내고, 지난달 악성코드 유포지 및 경유지 사이트는 총 617건으로 전월 대비 32.1%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근 해커들은 과거 e메일로 웜·바이러스와 트로이목마 등 악성코드를 확산시키던 것에서 벗어나 특정 사이트에 악성 코드를 심어 놓고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하면 감염되게 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KISA 분석에 따르면 악성코드 유포사이트는 9월 4건에서 10월 187건으로 367.5%나 급증했다. 이렇게 유포사이트가 늘어난 것은 국외 유포 사이트의 탐지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또 악성코드가 심어진 사이트로 유인하는 경유지 사이트는 9월 427건에서 10월 430건으로 0.7% 늘어났다.
악성코드 유포지 및 경유지로 악용된 사이트를 기관별로 분류하면 기업이 334건(56%), 개인 및 기타가 245건(40%), 비영리 홈페이지가 14건(2%) 등의 순이었다. 특히, 기업으로 분류된 co.kr과 .com 도메인이 악성코드 유포지 및 경유지 사이트로 많이 악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SA는 해커가 일반 이용자의 접속이 많은 기업 사이트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악성코드 유포지 및 경유지로 악용된 사이트를 웹서버 별로 분석한 결과, MS의 ISS웹서버가 61.4%, 아파치 웹서버가 3.2%, 기타가 35.3%를 차지했다.
김우한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장은 “각 기관 웹서버 관리자는 KISA가 제공하는 웹서버 보안 가이드를 참고해 피해를 막아야 한다”며 “웹서버 해킹에 주로 사용되는 SQL인젝션 취약점에 대한 보안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인순기자@전자신문, insoon@
- 연관검색어
-
#10월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급증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