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페이지 미만은 미리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
기타
-
광주과기원, 먹는 항응고제 개발
-
2004024-.jpg
-
등록인 etnews
-
등록/수정일 04.05.21 / 04.05.21
-
문서분량 1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3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광주과기원, 먹는 항응고제 개발
- 본문일부/목차
- 전세계인의 관심사로 부상한 비행기 승객의 이코노미클래스증후군(심정맥혈전증)을 예방치료할 ‘먹는 항응고제(헤파린)’가 국내에서 개발돼 시장 독점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의 변영로 교수팀은 23일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8년여간 심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us)과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을 예방치료하는 먹는 항응고제 ‘OH09208’를 개발, 미국의 유명 제약회사와 임상실험 및 약품개발 계약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심정맥혈전증은 오랜 시간 좁은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다리 깊은 곳의 정맥에 피가 엉겨 폐혈관을 막는 심폐기능장애로 죽음에 이르는 증상이다. 그동안 헤파린이 가장 확실한 심정맥혈전증 치료제로 사용됐으나 주사용으로만 가능했을 뿐 먹는 약이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담낭에서 분비되는 담즙산을 헤파린에 매달아 위장에서 빨리 흡수될 수 있도록 화학적으로 개조해냈다. 이같은 성과를 토대로 향후 인슐린(당뇨), 칼시토닌(골다공증) 등도 먹는 약으로 만들어 낼 계획이다.
변영로 교수는 “위장에서 흡수되지 못하는 기존 헤파린 제제의 한계를 세계 최초로 극복함으로써 영국, 미국, 일본 등에서 8건의 특허를 등록할 수 있었다”며 “약품을 실용화해 시판하면 연간 23억달러 규모의 심정맥혈전증 치료제 시장을 석권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에서 매년 25만여명의 심정맥혈전증 환자가 발생하고 10만여명이 폐색전증으로 사망하는 등 헤파린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며 “1일 2회의 헤파린 피하주사의 번거로움과 고비용(월 100달러)구조를 하루 한두 알의 알약복용으로 대체할 수 있는 OH09208의 상품가치가 월등하다”고 강조했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
- 연관검색어
-
#광주과기원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