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페이지 미만은 미리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
기타
-
[교양] 광고의분석
-
광고분석.hwp
-
등록인 ycsdasom
-
등록/수정일 08.04.27 / 08.04.27
-
문서분량 3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5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
- 본문일부/목차
- 라네즈의 ‘영화처럼 사는 여자’
그렇다면 이러한 패러디라는 거대한 장르를 위에서 말한 요건들을 충족시키며 성공적으로 사용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화장품 광고는 무엇이 있을까? 그 대표적인 예로 지금의 라네즈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밑바탕이 되었던 “영화처럼 사는 여자” 시리즈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 광고에 어떤 식 으로 패러디가 적용 되었고 또 영화패러디를 이용하여 어떤 식으로 화장품이미지를 형성하였는지에 중점을 두고 분석해 보고자 한다.
패러디광고 유형에는 TV 드라마나 영화에서 설정된 배역과 극중 인물관계를 그대로 적용하여 제작하는 광고들이 있다. 이 경우는 인물이 모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드라마 그 자체가 모델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실제 TV 상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대부분의 드라마들이 광고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라네즈의 ‘영화처럼 사는 여자’ 시리즈가 채택했던 방법도 바로 이런 방식의 패러디였고 그 후로부터 TV 드라마를 그대로 광고에 옮긴 이러한 패러디 광고의 유형이 유행하기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붐이 일었다.
( 라네즈의 패러디 광고의 형식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좀 더 깊게 들어가 살펴보자면, 라네즈 광고는 사실 패러디 라기보다는 패스티쉬 라고 볼 수 있다. 패스티쉬는 현대 포스트 모던시대에 들어오면서 새롭게 나타난 방식으로써 패러디와는 또 다른 차이를 보이는 형식이다. 패스티쉬는 패러디와 마찬가지로 창조를 부정하지만 기존의 작품을 그대로 인용하는 경우이며 패러디는 자신의 잣대를 가지고 새로이 재구성하는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실상 패러디와 패스티쉬를 명확히 구분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패러디가 원작을 비틀어 거기에 나름대로의 비판을 가하며 새로운 형식으로 발전시키는 것에 비하여 패스티쉬는 아무런 비판 없이 원작을 수용하고 있다.
- 연관검색어
-
#광고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