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국보문화재] 숭례문(남대문) 화재 소실에 대한 아쉬움


카테고리 : 레포트 > 기타
파일이름 :숭례문(남대문) 화재 소실.hwp
문서분량 : 16 page 등록인 : bada
문서뷰어 : 한글뷰어프로그램 등록/수정일 : 08.02.12 / 09.11.03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5
판매가격 : 2,4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A+레포트] 내고장 문화재 - 우리고장 보은의 관광상품, 문화재 소개... 8 pages 2000
[교육과정] 문화재와 박물관 탐색학습체험 갑안... 32 pages 1500
[교육과정] 사회 교과서디지털아날로그분석 문화재와 박물관 레포트... 10 pages 1000
[레포트] 화와교육 중간과제물 C형(문화재)... 5 pages 3900
문화재 보안시스템 지능화 시급... 1 pages 300
보고서설명
숭례문(남대문) 화재 소실로 인한 아쉬움을 기록사진들과 함께 글로 표현했습니다.
본문일부/목차
Ⅰ. 서 론

Ⅱ. 숭례문(崇禮門)의 가치와 의의

Ⅲ. 숭례문의 역사
1. 동국여지비고에 실린 기록
2. 임진왜란과 숭례문
3. 병자호란과 숭례문
4. 사진으로 보는 숭례문의 역사

Ⅳ. 2008년 2월 10일 숭례문(남대문) 화재상황

Ⅴ. 숭례문 화재에 대한 외신보도

Ⅵ. 숭례문의 원형 복원

Ⅶ. 결 론 - 화재 소실에 대한 의견



Ⅰ. 서 론
숭례문은 서울에 현존하고 있는 목조건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건물이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우리의 거물급 문화재 숭례문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1395년 조선 태조 때 창건돼 1398년 새 왕조의 대문으로 완성된 숭례문. 숭례문이라는 현판은 지봉유설의 기록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동대문과는 달리 방어의 목적보다는 도성의 주입구로서의 상징성이 강해 조선시대부터 국가의 대문으로 여겨져 왔으며 1962년 국보 1호로 지정된 우리 민족의 상징적인 보물이다. 1447년 세종시대에 풍수지리설에 따라 제대를 높여 개축한 이후 1479년 성종 때 대규모 보수공사를 거쳤다. 소실전의 모습은 1963년 중수한 것이다. 그 후로 잦은 개보수를 거쳤지만 기본 구조만은 계속 유지해 왔다.
중앙부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을 낸 거대한 석축 기단 위에 앞면 5칸 옆면 2칸 크기로 지은 누각형 2층 건물이다. 지붕도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형태인 우진각 지붕으로 고려 말 조선전기의 건축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을 뿐 아니라 현존하는 한국 성문 건물로서는 가장 규모가 컸었다.
지난 2006년 3월, 100년 만에 개방돼 일반인의 홍예문 출입이 가능해졌지만 누각으로의 접근은 제한돼 왔었다.
2008년 2월 10일, 숭례문에서 처음 연기가 날 때만해도 많은 사람들이 `저러다 꺼지겠지`하고 소방당국을 믿었다. 하지만 되살아난 불씨는 순식간에 600년 문화재를 폐허로 만들었다.
숭례문에서 처음 화재가 발생한 시각은 저녁 8시 50분쯤이었다.
50~60대로 추정되는 남성이 숭례문으로 들어가는 것을 시민들이 목격한 직후 누각에서 연기와 불길이 피어올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원들이 진화에 나섰고 화재 발생 한 시간 만인 저녁 10시쯤에는 어느 정도 불길이 잦아들었다. 소방당국은 이때부터 불이 난 2층 누각까지 접근해 진화작업을 벌이는 동시에 발화 지점을 찾기 위한 수색작업에 나서기도 했다.
그러나 11시쯤부터 다시 천장과 기와 사이 일부 지점에서 불길이 커지기 시작했고 소방대원들은 진화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전기톱과 도끼 등을 이용해 나무 구조물 등을 잘라내기도 하고 지붕 해체 작업도 시도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불길이 점점 더 커져가면서 내부에 진입한 소방대원들은 철수하기 시작했고, 새벽 0시 40분쯤 2층 누각의 기왓장이 떨어지면서 국보 1호 숭례문은 무너지기 시작했다.
뒤늦게 소방차 50여 대와 소방대원 150여 명이 집중 진화 작업에 나섰지만 진화를 위해 뿌리는 물은 숭례문 내부 구조물에까지 닿지 않았고, 불길은 더욱 맹렬하게 타올랐다.
결국 2008년 2월 11일 새벽 2시 5분 불길은 대부분 잡혔지만 숭례문은 이미 1층 누각까지 붕괴돼 잿더미로 변한 뒤였다.

Ⅱ. 숭례문(崇禮門)의 가치와 의의
서울 성곽(城郭)의 정문으로 문 이름은 숭례문(崇禮門)이며 태조(太祖) 7년(1398)에 창건된 후 세종(世宗) 29년(1447) 크게 개축(改築)되었다. 이 문은 현존하는 서울의 목조건물(木造建物)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석축(石築) 중앙에 홍예문이 있고, 그 위에 정면(正面) 5칸, 측면(側面) 2칸의 중층(重層) 문루(門樓)를 세웠으며, 지붕(屋蓋)은 우진각지붕으로 되어 있다.
연관검색어
문화재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