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연적, 사회적 종교적, 문화적 환경이 우리나라 복식에 미친 영향
한 시대의 복식은 그 시대의 사회, 문화뿐 아니라 정치, 경제, 종교등을 표현하게 된다. 따라서 의례와 절차를 중시한 유교 정신은 복식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조선시대에는 의례복과 평상복의 구분이 우리 나라 역사상 그 어느 시대보다 분명하였다. 그리고 유교에 듸한 관료주의 사회 정비를 위해 조선시대 최고의 법전인 경국대전에 관료제도와 함께 관등에 따른 복식제도를 엄격히 명시하여 복식을 통한 왕과 신하, 지배층과 일반 백성의 신분차를 분명히 하였다. 또한 유교적 미의식이 확립되어 과장과 허세를 피하고 소박한 성격의 문화가 자리잡게 됨에 따라 조선시대 예술작품은 자연주의적 성격을 갈하게 띠었고, 이러한 점은 당시 남녀 복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한복의 시대별, 용도별, 종류별 분류ƒ. 적의
왕비복의 상징이라고도 할 궁중법복(法服)은 조선왕조초 명의 사여관복(賜與冠服)을 통하여 이루어진 중국제 그대로의 왕비복을 예복(禮服) 즉 법복(法服)으로 삼아 「경국대전」에 제도화하고,임진란 이후 국속화되었으며 저고리·치마 등 우리나라 제도와의 이중구조 속에서 전승되었다.
(1)대삼(大衫)
대홍색(大紅色)이고 문식(文飾)이 없는 것이다.
(2)배자(褙子)
청색바탕에 적계문(翟鷄文)을 수놓았다.
(3)하피
청색바탕에 적계문이 있다.하피의 모양은 긴 폭으로 이것을 목에 걸쳤는데 등 뒤에서는 흉배위치 아래까지 늘이고 가슴앞에서는 치마끝까지 늘어뜨려 두폭이 겹치지 않게 추자(墜子)로 맺게 되어 있다.
(4)부수복식
대대,옥혁대,수,옥패,석,말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대삼을 대례복으로 습용하여 오면서 관이 직관인데다 배자나 하피에 적문(적계문)이 있고, 적의는 대홍색이라는 인식이 구례(舊例)로 전해져 오는 점에서 왕비(王妃) 법복(法服)은 대삼(大衫)이 되어 적의로 인식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원삼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