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레포트자기소개서방송통신서식공모전취업정보
campusplus
세일즈코너배너
자료등록배너

Digital Signal Processor


카테고리 : 레포트 > 기타
파일이름 :DIgitalSignalProc.hwp
문서분량 : 13 page 등록인 : CPIA_jykim
문서뷰어 : 한글뷰어프로그램 등록/수정일 : 07.05.50 / 09.12.29
구매평가 : 다운로드수 : 3
판매가격 : 1,700

미리보기

같은분야 연관자료
보고서설명
디지털신호처리 DSP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폰노이만 / ()
본문일부/목차
제1장 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처리란?
DSP의 특징
디지털 신호처리의 목적
1) 신호 복원(signal restoration)
2) 신호 해석(signal analysis)
3) 정보 추출(information extraction)
4) 신호의 합성(signal synthesis) 및 부호화(signal coding)
처리시스템의 실현 방법
디지털 신호처리의 응용분야
디지털 신호처리의 현황

제2장 How DSPs are Different from Other Microprocessors
프로세서 분류
1)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2)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 controler)
3)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프로세서
4) DSP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5) 프로세서들간의 관계
DSPs(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 현황

제3장 Hardware architecture for signal processing
DSPs(Digital Signal Processor)의 변화
1) 폰 노이만 구조
2) Harvard architecture
3) Super Harvard architecture
4) Typical DSP architecture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Chips의 구조적 특징
1) Fast hard-wired multiplier/accumulator
2) Barrel Shifter
3) Multi-Bus Structure
4) Instruction Pipeline
5) Multiple Unit
6) Special Instructions
7) Loop Control
Comparisons with Microprocessors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hip의 분류

제4장 현재 사용되고 있는 DSPs 4종 SPEC
Highest Performance Fixed-Point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MS320C6201 at TI
16-Bit Fixed-Point DSP Microprocessors with On-Chip Memory of Analog Device
Optimized for digital cellular infrastructure applications at Lucent
(speech coding, speech compression, and channel coding)
High Performance DSP56300 Core at Motorola

제5장 DSPs의 미래
DSPs의 발전 과정
DSPs의 발전 동향 및 전망
1) 범용 DSPs에서 전용 DSPs로
2) 병렬처리 또는 멀티프로세서 기능 - 통신기능 강화
3) 초고성능화 - 200 MHz / 2000 MIPS 이상까지 실용화, 대용량 메모리 내장
4) 5.0V에서 3.3V, 2.5V, 1.8V로 저전압화 - 소비전력 감소
5) 우수한 소프트웨어 개발툴 지원
발췌문 ( Digital Signal Processing Solutions - Code Composer Studio )

디지털 신호처리의 목적
1) 신호 복원(signal restoration)
관측신호에서 잡음과 같은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여 신호 본래의 형태를 복원하기 위하여 디지털 신호처리를 하며 잡음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필터링(filtering)처리가 중심적인 분야이다.
2) 신호 해석(signal analysis)
관측신호 자체로부터 그 성질을 기술하고 있는 특징을 추출하는 일을 할 수 있으며 거의 대부분은 통계적 요소(parameter)의 추출로서, 확률밀도함수와 각종 통계량의 추정 등이다. 특히 스펙트럼 해석이나 상관해석은 디지털 신호처리의 중심적인 분야이다.
3) 정보 추출(information extraction)
관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하거나, 혹은 전처리에서 신호를 편리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으로 패턴 인식이나 특징 요소의 추정 등에 이용된다.
4) 신호의 합성(signal synthesis) 및 부호화(signal coding)
기호 혹은 요소(parameter)들로부터 신호를 합성하는 일이다. 예를 들면 음성이나 영상의 합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고능률 신호부호화(signal coding)를 목적으로 하는 처리(예측, 직교변환, 움직임 보상, 양자화 등)도 디지털 신호처리의 핵심이 되는 분야이며, 이러한 목적을 위한 디지털 칩도 많이 개발되어 있다.
연관검색어
디지털신호처리 DSP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폰노이만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ϰڷٷΰ thinkuniv 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