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글
Ⅱ. 본론
1. 목민심서의 주요내용
2. 율기, 봉공의 요약
Ⅲ. 결론
Ⅰ. 머리글
정약용(丁若鏞 : 1762-1836)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이다.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신유박해로 전라도 강진에서 19년간 귀양살이를 하고 있던 중 1818년에 완성된 것으로 저자가 학문적으로 가장 원숙해 가던 해 이루어진 그의 대표작이다.
목민(牧民)은 백성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부윤(府尹).목사(牧使).부사(府使).군수(郡守).현감(縣監).현령(縣令) 등 백성을 직접 다스리는 목민관을 일컫는 말이다. 지방의 수령관인 목민관이 고을을 다스리면서 삼가해야할 일과 행할 일들을 자세하게 적은 통치 지침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부정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부임(赴任-임금에게 명을 받고 임지에 감). 율기(律己-몸과 마음을 스스로 관리. 단속함). 봉공(奉公-수령의 초보적인 복무규율). 애민(愛民-백성을 보살핌). 이전(吏典). 호전(戶典). 예전(禮典). 병전(兵典). 형전(刑典). 공전(工典). 진황(瞋荒). 해관(解官)의 12편으로 나누고,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편기되어 있다.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