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판매가격
1,5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1. 감염에 대한 방어 작용
1 ) 살균 작용 : 용해성 화학인자
2 ) 식균 작용 : 식세포
2. 식세포
1 ) 다형핵 호중구 (소식 세포)
① 과립형
ⅰ) 아쥬르(ajure) 친화성 일차과립 : 골수성 과산화수소, 라이소자임, 양이온성 단백
ⅱ) 이차 특이과립 : 락토페린, 라이소자임, B12결합단백
ⅲ) 3차 과립 : 산 가수분해효소를 가진 일반적인 라이소솜
② 혈중 백혈구 가운데 가장 중요한 세포
2 ) 대식세포 : 골수의 단구 세포에서 유래
ⅰ) 다형핵 백혈구 - 화농성 세균
ⅱ) 대식세포 - 세포네 기생세균, 바이러스, 원충
- 본문일부/목차
- 3 ) 성분 : 9개의 기능단위(C1 ~ C9)와 11종의 단백질로 구성 (C1g - C1r - C1s : C1 에 3개)
① C1 : Ag, Ab 결합 시 가장 먼저 붙는다. (α2 - β2 globulin 영역)
② C2 : 가장 적다 (30 ㎍/㎖)
③ C3 : 가장 많다 (1100 ㎍/㎖)
④ C4 : β1 globulin
⑤ C5 : Chemotatic reaction (보체 결합 반응을 일으킨다)
⑥ C6 - C7 : neutrophil에 chematatic group
⑦ C8 : 규명되지 않음
⑧ C9 : 마지막에 결합하여 반응이 끝남 (세포 용해)
4 ) 생물학적 기능
① 부착 반응
②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절편
③ 세포막 손상 (자가세포막을 용해시키는 작용은 약함)
5 ) 반응
① 용해 반응 : 적혈구 용해, 세균 용해, 세포 용해
② 보체 결합반응
③ 면역부추 반응
④ 면역 식균 작용
⑤ 항 보체 작용
5. 2차 방어 작용
1 ) 급성기 단백 : 감염 or 조직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여러종류의 혈장단백의 양이 극적으로 증가
⇒ C 반응성 단백 (CRP), 혈청 아밀로이드 A 단백, α1 항 트립신, α2 마크로 글로불린, 피브리노젠, 셀룰로플라스민,
보체성분 (C9), B인자
2 ) 인터페론 (항 바이러스 인자)
⇒ α - 인터페론, β - 인터페론, γ - 인터페론
3 ) NK세포 : 바이러스 감염세포 표면에 나타나는 분자량이 큰 당단백을 인식
4 ) 호산구 : 기생충 방어
→ 활성화 되어 MBP 방출과 특히 기생충 세포막에 손상을 주는 양이온 단백 방출을 포함한 세포의 세포살해기전을 발동한다.
후천성 면역
1. 항체 (Antibody)
1 ) 림프구에서 생산
2 ) 항원이 항체 생산 림프구를 선택
3 ) 후천성 체액 면역은 클론의 확장을 필요로 함.
2. 획득 (후천성) 면역의 기억
1 ) 1, 2 차 체액 항체 반응 (예방접종의 원리)
- 연관검색어
-
#면역학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