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식품 주제 기능성 식품(김치) 김치의 정의 김치는 주원료인 절임 배추에 여러 가지 양념류(고춧가루,마늘,생강,파 및 무 등)를 혼합하여 제품의 보존성과 숙성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젖산생성을 통해 발효된 제품 김치의 어원 기치를 의미하는 옛말은 “디히”와 “지”인데 “지는”는 지금까지도 김치의 다른 표현으로 불리고 있다. 상고시대에는 김치를 “저”라는 한자어로 표기하였다. 삼국유사에서 김치,젓갈무리인 “저해”가 기록 되어 있으며 또 고려사,고려사절요,에서도 “저”자를 찾아볼수 있다.이후 “지”,“염지”,“지염”,“침채”,“침저”,“침지”,“엄채”,“함채”등이 김치무리로 말하는 것이다.19세기 초의 저서인 임원십육지에는 저에 대한 설명과 함께 많은 종류의 김치가 선보이고 있다. 김치란 말은 “침채”라는 한자어에서 비롯되었다. 이 한자어는 한자와 본고장인 중국에는 없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만든 글자인 듯하다. 한편 김장의 어원은 “침장”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장에 절인 순무장아찌는 여름철에 먹기 좋고, 소금에 절인 순무는 겨우내 찬으로 쓰인다.또한 삼봉집 권7기에는서는 고려시대에 채소 가공품을 다스리는 ”요물고“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 태종조 9년의 기록을 볼 때 김장을 보관하던 곳이 따로 있었으며 김장이 ”침장“에서 비롯되었음을 짐작할수 있다. 김치의 역사와 유래 상고시대때 김치류를 총칭하는 우리 고유의 옛말을 “지” 또는 한자로 “침채”라고 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침채”는 “채소를 소금물에 담근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팀채” 혹은 “딤채” 로 발음된다. 이것이 구개음화로 인해 “짐치”가 되었다가 오늘날 “김치”가 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혹은 “소금물에 처리된 채소” 또는 “소금으로 절인 야채”를 뜻하는 “함채”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중국어 발음으로 “함차이” 또는 “감차이”이며, 이것이 우리말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김치”로 발음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