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
자연과학계열
-
수질분석 실험 - 경도[Hardness] 결과 보고서
-
수질분석 실험 - 경도[Hardnes.hwp
-
등록인 leewk2547
-
등록/수정일 13.05.13 / 13.05.13
-
문서분량 5 페이지
-
다운로드 1
-
구매평가
판매가격
2,0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경도는 수중 금속의 양이온(Ca2+, Mg2+, Fe2+, Mn2+, Sr2+, Al3+ 등 - 주 원인은Ca2+, Mg2+) 함량을 이에 대응하는 CaCO3 ㎎/L로 환산하여 표시한다. 이 수치는 물의 세기의 정도를 나타내며 총경도는 탄산경도와 비탄산 경도의 합으로 나타내어진다. 합성세제의 출현으로 센물(경수)을 가정용수로 사용할 때의 곤란한 문제들은 대부분 사라졌으나, 일부 세탁과 인체 위생에는 비누가 더 좋으므로, 센물은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 본문일부/목차
- ★EDTA 적정법
경도를 지시약으로 Eriochrome Black T(EBT)를 사용하여, 에틸렌디아민테트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acid, EDTA)으로 직접 적정하여 측정할 하는 방법 EDTA 적정법은 매우 정밀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 가장 흔히 채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Eriochrome Black T(EBT)의 수용액은 pH 10 부근에서 청색을 띄게되고 Ca2+, Mg2+ 등의 금속이온이 공존할 경우에는 킬레트생성정수(ligand가 착물을 형성하기 쉬운 정도)의 크기에 따라 Mg2+와 먼저 킬레트착물을 생성해 적자색을 보인다.
Mg2+(무색) + EBT(청색, 소량) → Mg2+ ⇒ EBT 착물(적자색)
이와같은 킬레트화합물을 포함한 액중에 Na2-EDTA의 수용액을 적가하면 pH 10에서 EDTA2-로 존재하여 먼저 Ca, Mg와 1:1로 무색의 착물을 만든다.
Ca2+ + EDTA(무색) → Ca2+ ⇒ EDTA(무색) : 당량점 이전
Mg2+ + EDTA(무색) → Mg2+ ⇒ EDTA(무색) : 당량점 이전
다음으로 EDTA쪽이 EBT보다도 Ca2+나 Mg2+와 킬레트정수가 크므로 킬레트착물반응에서 생성된 착물로부터를 Mg2+탈취하여 무색의 킬레트화합물이 생성되고 이때 해리한 EBT는 본래의 청색으로 돌아간다.
Mg2+ + EBT(적자색) + EDTA → EBT(청색) + Mg2+ ⇒ EDTA(무색)
- 연관검색어
-
#수질분석 실험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