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코드화살표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자연과학계열
  • 토양내 유기물 함량 측정

  • 토양내 유기물 함량 측정.hwp
  • 등록인 leewk2547
  • 등록/수정일 12.06.01 / 12.06.01
  • 문서분량 5 페이지
  • 다운로드 1
  • 구매평가
판매가격 1,500원
같은분야 연관자료
보고서설명
Organic has strong power to include nutrient and water. So, It play important role about nutrient storage and water tank. It also form layers gathering soil that improve physical character of soil. Organic of soil stopped lost of soil by rainning and reduced damage from drought. It also flourish soil microbe that promotes solubilization of nutrient. Actually, it makes a gap in soil to increase times of remain agricultural pesticides.
본문일부/목차
두 실험 간에 유기물함량 오차가 발생 하였는데 이는 Walkley-Black Method 실험 간에 오차가 생겼을 가능성이 Loss on ingnition 실험 간에 생겼을 오차의 가능성보다 크다고 생각된다. K2Cr2O7을 첨가할 때 시약이 덜 첨가 되어 완전한 유기물의 산화가 일어나지 못했을 수 있고, H2SO4 첨가 시 잘 섞어 주었어야 했는데 발열이 심해 잘 섞어주지 못했다. 0.5N-FeSO4 적정을 할 때에도 피펫을 다루는 능력의 미숙으로 인해 정확한 ml의 측정을 하지 못해 오차가 더욱 커진 것 같다.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실험 방법의 숙달이 있을 수 있겠고, 실험의 반복 횟수를 늘려 평균치를 구해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도 있을 수 있겠다.

This is result from soil of jinseng farm in CNU. In result of Walkley-Black test, surface layer 1.07% and depth soil 0.62%(10.7g/kg,6.2g/kg), it is short of organic optimum level. In result of ingnition Method test, surface layer 3.56% and depth soil 3.26%(35.6g/kg,32.6g/kg), its excess of supply organic. So, jinseng farm in CNU is impossible to cultivation.

Ⅴ. Reference
1. 류수노ㆍ김관수, 2007, 작물생산생태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p79
2. 정덕영 외 13인 공저, 2006, 토양학, 향문사, p.80
3. 양재의ㆍ정종배ㆍ김장억ㆍ이규승, 2001, 농업환경학, 씨아이알, p288-300
연관검색어
#토양내 유기물 함량 측정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중간과제물바로가기 교체별핵심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