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조 환경 바다 /
` 국립수산과학원 - http://www.nfrda.re.kr/susan/algal/
` 국립수산과학원 - http://www.nfrda.re.kr/
(환경행정)
본문일부/목차
Ⅰ. 서론 Ⅱ. 적조현상의 개념 및 원인 분석 1. 적조현상이란? 2. 적조의 종류 3. 적조현상의 원인 분석 1) 환경적 요인 2) 인간행태에 기인한 요인 Ⅲ. 적조현상 방지를 위한 대책 1. 부영양화 현상 방지 2. 어장 환경 개선 3. 어장의 과학적 이용관리 - 적정양식 Ⅳ. 우리나라의 적조현상 현상 1. 발생현황 2. 피해사례 3.문제점 4. 대책 - 적조 조기탐지로 피해 최소화 Ⅴ.결론
요즘에 와서 부쩍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었지만 사실상 적조는 오래전부터 늘 있어왔던 자연스런 자연현상의 하나에 불과했다. 우리나라의 적조기록은 신라 선덕왕 8년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기록에 의하면 동해의 물이 붉게 물들고 고기와 거북이 떼죽음을 당했다고 한다.
이렇듯 역사 속에 가끔 등장하는 적조는 발생 후 사흘 정도, 길어야 10여일 지속하다 그치는 것이 고작 이었다. 그다지 큰 피해는 없었으며, 당시 선조들은 자연이 분노하는 불길한 징후로 여겼었다.
근래에 와서 적조가 처음 기록 보고 된 곳은 1963년 경남 진동항 이다. 그 후 1970년 중반 까지는 진동항이나 마산항과 같은 일부 폐쇄성 내만에서 여름철에 소규모로 발생하여 일주일 정도 지속하다 그쳤다. 이때 번식한 적조 생물은 독성이 없는 규조류였기 때문에 피해 규모가 비교적 적었다.
그러나 1981년 부산, 진해, 통영 일대에서 발생한 적조 때 맹독성의 편모조류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양식장에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그 후 남해안 곳곳에서 적조가 발생했으며 시기도 여름 한철이 아니라 4월부터 10월까지로 확대되었다. 90년에는 비교적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제주도 연안까지 적조가 발생하였고 95년에는 동해안 울진 앞바다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적조는 우리 양식업을 초토화시키는 한반도 최악의 바다 재난이 되고 있다.
적조에 관해 설명하기 전에 한 가지 언급을 한다면, ‘적조’란 통상 해면이 변색한 현상을 가리키지만, 「적조의 발생」이란 단어는 혼란을 초래하기 쉽다. 적조현상은 대증식한 적조플랑크톤이 바다에서 국부적으로 집적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며, 변색은 그것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플랑크톤이 대증식하여도 분산되어 있으면 색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색을 나타내는 경우, 적조생물의 용적밀도는 3ppm전후부터 그 이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적조의 발생」이라고 한 경우에 적조생물의 대증식을 가리키는지, 그것이 모여 바다의 색을 바꾼 것을 가리키는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엄밀히는 전자는 「적조생물의 대증식」이고, 후자는 「적조현상의 발생」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