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교육학과 1학년 인간과 과학 공통]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인터넷 기사나 방송보도 사례를 참고하여 최근 각종 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 논한 방통대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참고자료로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과제작성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본문일부/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잊혀질 권리의 개념
1) 잊혀질 권리의 정의
2) 잊혀질 권리의 기원
3) 잊혀질 권리의 발단과 사례
(1) 잊혀질 권리의 발단
(2) 잊혀질 권리의 사례
2. 인터넷 상의 개인정보 관련 유형
1) 개인신상정보
2) 의견적 가치정보
3) 사실 회상적 가치정보
4) 사실 자체적 가치정보
3. 잊혀질 권리에 대한 시각
1) 잊혀질 권리의 법제화
2) 잊혀질 권리의 쟁점
(1) 찬성입장
(2) 반대입장
3)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
4. 우리나라의 잊혀질 권리 실현가능성
1) 잊혀질 권리 적용사례 : 신상털기
2) 현행 법률상 개인정보의 정의와 잊혀질 권리
3) 현행 법률상 잊혀질 권리 관련 규정
(1) 정보통신망법상 관련 규정
(2) 개인정보보호법상 관련 조항
(3) 판례
4) 잊혀질 권리 적용가능성
5) 현재의 상황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잊혀질 권리의 개념
1) 잊혀질 권리의 정의
개인이 온라인 사이트에 올라 있는 자신과 관련된 각종 정보의 삭제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볼 수 있는 개인 신상정보, 사망한 뒤 페이스북에 남아 있는 사적인 사진 등의 정보는 개인의 것이지만 정보의 삭제 권한은 기업에 있다. 최근 유럽에서는 이러한 온라인상의 정보를 삭제 요구할 수 있는 잊어질 권리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2) 잊혀질 권리의 기원
잊혀질 권리의 기원은 현재 삶에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과거의 사건에 대해 침묵할 권리로서 1970년대 주창된 프랑스(Droit al oubli)와 이탈리아(dirrito al obli)의 법적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잊혀질 권리의 개념에 대하여 는 인터넷상에서 잠재적으로 나타나 있는 자신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자료의 삭제를 요구 하며 해당 자료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권리로 파악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생성된 잊혀질 권리 개념은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 망각의 권리(right to oblivion), 삭제의 권리(right to delete) 라는 표현으로 혼용 되어 사용되고 있다.
3) 잊혀질 권리의 발단과 사례
(1) 잊혀질 권리의 발단
2010년 어느 날, 스페인의 변호사 마리오 코스테자 곤잘라스는 구글에서 자기 이름을 검색해봤다. 헌데 기억하고 싶지 않은 과거가 나왔다. 그가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시절인 1998년에 연금을 제때 내지 않아 집이 경매에 처해졌던 내용이 담긴 신문 기사가 검색 결과로 떴다. 곤잘라스 변호사는 이젠 형편도 나아졌고 빚도 다 갚았으니 그 신문 내용은 자신에 대해 적절하지 않은 정보라고 생각했다. 그는 스페인 개인정보보호원에 기사와 검색결과 노출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스페인 개인정보보호원은 기사는 삭제하지 않되 구글 검색 결과 화면에서는 관련 링크를 없애라는 결정을 내렸다.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