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장애 아동들은 변화되지 않는 사건에 주의를 유지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되지 않는 시각적 정보처리를 좀 더 쉽게 여긴다. 순간적으로 지나가는 시각 ․ 청각적(visual auditory) 정보에 비하여 시각 고정적(visuospatial) 자극은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들이 더 쉽게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성공한 자폐인인 탬플 그랜딘(1995)은 "나는 모든 것을 시각적으로 생각한다.
시각적 사고란 마치 상상 속의 비디오 기기에서 다양한 테이프들이 작동하는 것과 같다."고 표현한 바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자폐성장애인의 시각적 학습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시각적 단서를 제시한다거나 시각적 구조화를 포함하는 교수-학습전략이나 행동중재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시각적 교수-학습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는 미리 보여주기(priming) 전략이다. 미리 보여주기는 아동이 어려워할 수 있는 활동이나 관련 정보를 미리 보여줌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갖고 학습이나 행동과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다. 그래서 미리 보여주기 전략은 사전 교수(pre-leaching)전략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미리 보여주기는 아동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제재에 친숙해질 수 있게 하고, 불안이나 분노를 감소시켜 주며, 활동을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Myles, 2004). 대표적인 미리 보여주기 전략으로는 비디오 모델링(video modeling), 시각적 지원(visual supports), 상황이야기(social story)를 들 수 있다.
비디오 모델링은 또래나 부모, 교사 등이 모델로 등장할 수도 있지만 특히 아동 자신이 모델로 등장하는 비디오 자기모델링 기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디오 자기 모델링 기법(video self-modeling)은 비디오라는 매체를 통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대상자에게 보여주는 전략을 뜻한다(Bellini & Akullian, 2007).
즉,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자기 자신을 관찰함으로써 목표행동을 모방하도록 하는 것이며(Dowrick, 1999), 다양한 행동, 나이, 장애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이다(Kahn et al., 1990).
비디오를 이용한 관찰적 교수방법은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거나,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키는 형태로 장애학생의 행동문제에 대한 중재에서 효과를 보인다.
비디오 자기모델링은 모델과 관찰자의 유사성으로 관찰자의 주의집중 과정을 촉진하여 학습이나 행동에 효과가 있으며, 자기모델링을 통해 성공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자존감을 증가시키고, 이것이 다시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 (이하의 내용 생략)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