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
사회과학계열
-
수학 -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 에 나타난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한 고찰
-
수학 -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 에.hwp
-
등록인 leewk2547
-
등록/수정일 13.04.10 / 13.04.10
-
문서분량 164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2,0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수학교육에서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수학 지도법은 수학사에 관심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며, 수학 수업에서 수학사를 활용하는 이점에 대해서는 여러 문헌을 통해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수학적 기호와 아이디어들은 대부분 서양의 수학 산물에서 비롯되므로 수학사에 대한 관심도 서양 수학사에 대한 비중이 커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서양의 수학사에 못지 않은 동양, 특히 중국의 수학사가 있었음을 들은 바 있지만 실제로 그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나아가 중국 수학의 지대한 영향을 받은 우리 나라의 수학에 대해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 본문일부/목차
- 본 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의 내용을 고찰하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일집은 구일집 천(天), 구일집 지(地), 구일집 인(人)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각각에 3권씩 포함되어 있어 총 9권으로 이루어진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산학서이다. 여기서 옛 선조들이 책의 순서를 매겼던 방법에 대해 잠시 언급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여러 권으로 이루어진 자신의 저서를 순서 매기고자 할 때 보통 1, 2, 3...을 쓰지만, 저자의 취향이나 풍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을 사용하였다. 가령 두 권이면 천지(天地), 또는 건곤(乾坤), 세 권이면 천지인(天地人), 네 권이면 원형이정(元亨利貞) 등으로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에 따라 구일집도 천, 지, 인의 세 권으로 순서매겨져 있다.
이 산학서의 저자 홍정하(洪正夏: 1684∼?)는 조선왕조 숙종 10년에 태어난 중인 출신의 산학자이다. 산학팔격안(算學八格案)에 따르면, 그의 조부, 외조부, 장인이 모두 산학자인 것으로 미루어, 당시의 전형적인 산학자 집안 출신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구일집의 9권 중 제 1, 2권에 한하여 각 절에서 다루는 문제들의 성격을 밝히고 몇 개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시대의 수학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고찰하면서 교육적으로 함의하는 바를 도출할 것이다.
II. 구일집 제1권의 문제들
- 연관검색어
-
#수학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