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페이지 미만은 미리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
사회과학계열
-
[한국문학발표] 김승옥 - 서울, 1964년 겨울
-
[한국문학발표] 김승옥 - 서울, 1.hwp
-
등록인 leewk2547
-
등록/수정일 12.08.15 / 12.08.15
-
문서분량 3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1,6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이번 수업의 많은 분들의 발표 작품 중 저는 유독 김승옥 작가님의 서울, 1964년 겨울 작품이 와 닿았습니다. 이 작품의 주제가 지금 제가 느끼는 우리사회의 세태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문학 지식이 비록 미약하지만 제가 서울, 1964년 겨울을 읽으며 느낀 것을 바탕으로 이 작품을 분석하며 살펴보겠습니다.
- 본문일부/목차
- 서울, 1964년 겨울에는 육사 시험에 실패하고 구청 병사계에서 근무하며, 살아가는 스물다섯 살 난 시골 출신의 사내인 ‘나’가 등장을 합니다. ‘나’는 소외감과 고독감을 느끼며 살아갑니다. 그리고, ‘나’와 동갑내기로 부잣집 장남이며 대학원생인 ‘안’이 등장을 하며 ‘안’은 삶을 냉소하면서도 자기 구원을 시도하는 인물입니다. 마지막으로 마누라 시체를 병원에 판 죄책감에 빠져 괴로워하다가 여관방에서 결국 자살하는 서른 대엿살의 가난한 사내인 ‘외판원’이 등장을 합니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서울, 1964년 겨울 작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의 서두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작품에서 서두 부분이 긴 문장으로 되어 위치한 이유는 당시 사회(1960년대)의 절망적인 분위기를 제시하기 위합니다. 즉, ‘밤이 되면 거리에 나타나는 선술집’, ‘얼어붙은 거리를 휩쓸며 부는 차가운 바람’, ‘길쭉한 불꽃이 바람에 흔들리고 있고’ 등과 같은 부분에서 보듯이 서두의 이런 부분들이 얼어붙은 서울의 선술집을 표현한 동시에 그 선술집 안의 피곤하고 우울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황량한 내면 풍경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의 선술집(포장마차)은 서민의 애환이 서려있는 곳이며, 쓸쓸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현대인들이 찾아드는 곳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소설의 등장인물인 허무주의자 안, 속물적 사고의 나, 생활고에 지친 외판원 아저씨 역시 서울의 쓸쓸한 군상들로써 선술집에 찾아온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 1964년 겨울에서 무엇보다 두드러지는 것은 ‘나’와 ‘안’과 ‘그’라는 새로운 인물 유형입니다. 선술집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는 이십오 세의 동갑내기인 이들은 결코 그들 자신에 대해 말하지 않습니다.
- 연관검색어
-
#한국문학발표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