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유럽의 역사비교 언어학자들은 19세기 이래 우랄-알타이어족설에서 빈번히 언급되던 ‘공통특질론’과 같이,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립, 강세와 억양, 모음조화와 자음조화, 단어 내적 음운변이와 같은 알타이어족 공통 특질을 제시하였다.
반알타이어족설을 주장한 학자들은 알타이제어는 기초 어휘인 신체지칭어나 친족 명칭어가 유사한 것이 거의 없고, 기초 어휘로서 대명사 일부가 유사하고 수사가 거의 다르며, 음운 대응의 규칙성이 정확하지 못하고 믿을 만한 것이 부족하고, 알타이제어의 언어 구조는 매우 유사하지만 차용어를 제외하면 공통된 요소가 매우 적고, 문법 요소의 일부 유사성으로는 알타이제어의 친근성을 증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문법적 요소도 차용될 수 있고, 역사적으로 밀접한 접촉을 가졌고 서로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결과 언어 구조가 유사해졌고 차용어로 인하여 공통요소가 생겼다는 이유를 근거로 들고 있다.
과제 내용
한국어의 계통 문제는 유럽의 역사비교언어학자들에 의하여 19세기 말엽에 제기되었다.1) 그들은 일찍이 인도 유럽어족설을 구체적으로 증명하여 같은 계통의 언어라는 학설을 확립하고 같은 맥락에서 우랄-알타이어족설을 내세우면서 어휘비교를 통하여 계통적 관계를 증명하려고 하였다.
우랄-알타이제어를 우랄과 알타이 양개 어족으로 분리할 것을 주장하고, 알타이어족으로 분류된 몽고, 튀르크, 만주-퉁구스제어의 본격적인 비교 연구를 처음으로 수행한 사람은 1900년대부터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한 핀란드 학자 람스테트이다.
람스테트의 알타이어족 설정에 관한 태도는 포페에 의하여 강조되었다. 람스테트의 ‘한국어 어원연구’ 서평에서 람스테트가 제시한 오류를 정정하고 다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알타이언어학 서설 (1965)에서는 한국어의 계통이 분명치 않다고 전제하고 3가지 기능성을 제시하면서 한국어가 알타이제어와 친근관계가 있음을 논하였다. 포페는 19...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