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코드화살표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사회과학계열
  • [] [EU FTA] 한 EU FTA 전자분야 미치는 영향

  • 한_EU_FTA_전자분야19p.ppt
  • 등록인 yellow555
  • 등록/수정일 08.05.10 / 08.05.10
  • 문서분량 19 페이지
  • 다운로드 2
  • 구매평가
판매가격 2,400원
같은분야 연관자료
보고서설명
한미.한EU FTA와 경제전략
노순규 l 한국기업경영연구원 l 2007년 06월 18일

한-EU FTA현황과 전망 그리고 추진전략
이종원외 l 높이깊이 l 2007년 06월 22일
본문일부/목차
1. 한 – EU FTA 도입배경
2. 한국의 전자산업 현황
3. 한-미 FTA 체결
4. 한국 전자산업 제품의 대 EU 수출 현황
5. 한국 전자산업 제품의 대 EU 수입현황
6. 한-EU FTA 전자산업분야 쟁점사항
7. FTA체결에 의한 기대효과및 대응방안



<중략..........>

한-EU FTA 도입배경

■ 거대한 단일시장: 인구 4억8천만(총25개 회원국),
GDP 14조 3천억(미국: 12조 9천억)
■ 한국의 주요교역대상국: 한국의 제 2대 수출대상국(제 4대 수입국),
한국의 최대 투자국(2006년 기준)
■ 현재진행형인 확장국: 2007년 발칸의 일부국가 및 루마니아, 불가리아가
EU의 신규회원국으로 가입될 예정
=>2010년경에는 유럽을 중심으로 동구, 아프리카에
이르는 거대한 유럽경제권 형성될 것으로 예상
■ 기대되는 수출증대효과: 전기전자/자동차 분야에서 많은 이득 예상

FTA 전자분야 쟁점사항
EU
WEEE : 전기전자장비 페기물 처리지침

제품 생산자가 소비자에 의해 사용된후 소각, 매립되지않은 전기, 전자장비들을 일정한비율로 회수, 재활용하도록 의무화한것임.

시기 : 2005년 8월13일 EU에서
제정

주요내용: 생산자는 WEEE마크부착,재활용정보제공, 재활용목표달성, 비용부담, 보고등의 의무를 가지고있으며 의무를 준수하는 제품만이 EU내에서 판매가능
한국
EU의 전자제품 페기물 지침의경우 생산자가 회수와 재생까지 책임지도록 규정되어있으므로 수출 업자의 큰 부담으로 작용

EU의 통합규격 인증마크의 경우 인증절차가 복잡하고 비용부담이 커 국내업계에 불만이 팽배

한 EU전자분야 FTA를 통해 이 지침을 축소시키거나 완화할것을 요구
<중략...........>
연관검색어
#EU FTA

구매평가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

 

중간과제물바로가기 교체별핵심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