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
사회과학계열
-
[지방자치학]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형태
-
지방자치단체의기관구성형태.hwp
-
등록인 bellezard
-
등록/수정일 08.04.26 / 10.03.22
-
문서분량 7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1,6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형태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 본문일부/목차
- [목차]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형태
제1항 기관통합형
제2항 기관분리형
제3항 의회-집행위원회형
[본문일부]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형태
제1항 기관통합형
Ⅰ. 영국의 의회형
◦영국의 지방의회는 의결기관인 동시에 집행기관이기 때문에 대립되는 집행기관이 별도로 없음을 그 특질로 함(대도시 지역 및 London의 boroughs 제외)
※ 2000. 5. 4 시민이 직선하는 대런던시장의 지위는 상징적인 의미가 아님
◦지방의회의 본회의에서는 당해 자치단체의 정책사항을 결정하고 그 집행은 수석집행관이 담당하고 있음
Ⅱ. 미국의 위원회형
◦위원회형은 주민에 의해 선출된 위원들이 위원회에서 공공정책을 의결하고 시행하는 지방정부의 유형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
- 보통 5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지방정부의 모든 결정기능을 행사하고 통제함
- 한 위원은 시장으로 지명되고 다른 위원들은 그 시의 행정부국을 지휘, 감독함
- 5명의 위원은 정책을 집행할뿐만 아니라 결정하기도 함
- 위원은 정당에 가입하지 않은 선출된 공무원임
- 위원은 각자의 선거구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시 전체를 대표함
- 통치는 집단적으로 행하여지며 시정부에 1인의 장이 없음
Ⅲ. 기관통합형의 장,단점
(1) 장점
◦권한과 책임이 주민의 대의기관에 집중되어 있어 민주정치와 책임정치 구현에 적합함
◦의결기관과 집행기관간 대립,반목의 여지가 없어 지방행정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음
◦집행기관이 다수의 의원 또는 위원으로 구성되어서 자치행정이 주민에 의사에 의해 공정하고 신중하게 수행될 수 있음
- 연관검색어
-
#기관구성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