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언}은 조선조의 대표적 성리학자의 하나인 율곡 이이(1536 - 1584)의 작품이다. 이 책은 외견상 노자 {도덕경}의 주석서의 형태를 띄고 있지만 주석서라기보다는 독립된 저서에 가깝다. 순언이란 명칭이 의미하듯 도덕경중에서 잡박한 것을 버리고 정수만을 뽑아 도덕경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조에서 이루어진 노장사상에 관한 저술은 순언외에도 박세당(1629 - 1703)의 {신주도덕경}, 서명응(1716 - 1787)의 {도덕지귀론}, 홍석주(1774 - 1842)의 {정로}, 이충익(1744 - 1816)의 {담로}등이 알려져 있다. 순언은 이들 중 가장 먼저 이루어졌을 뿐 아니라 노자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가 아니라 노자사상을 수용하려는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입장을 취한 점에서 선구적 업적이라고 할만하다.
율곡은 성리학적 수기치인을 근본이념으로 삼고 이를 통해 조선사회를 바로잡으려는 성리학적 경세가였다. 또한 그는 정덕, 이용, 후생을 균형있게 강조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고 함으로써 실학적 사유의 선구자로도 평가된다. 그러므로그는 당시의 유학이 기송사장학에만 치우치는 것을 개탄하였으며 도,불이 독선기신의 폐단으로 흐를 가능성에 대해서도 경계하였다. 도,불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태도는 율곡에게만 고유한 것은 아니며 조선조의 성리학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천리에 따르고 민심을 교화하려는 유교적 경세의식과는 달리 도, 불은 소극적으로 일신의 안녕을 추구하는데 불과하다는 것이 주된 비판 요지이다. 그러나 율곡은 대부분의 성리학자와는 달리 도,불을 비판 일변도로 보지 않고 성리학적 시각에서 회통가능한 측면은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하였다. 율곡이 [마음을 비워야 개인의 사사로움을 버리고 남의 선함을 받아들일 수 있어서 학문에 진전이 있고 실천의 성과가 있다({순언} 제 4장)]고 강조한 것은 이와 관련된 자세라고 말할 수 있다.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