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페이지 미만은 미리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
인문,어학계열
-
프로이트, negation( 부정 ) , 니게이션 정의, 용어설명, 예시 등
-
프로이트 negation.hwp
-
등록인 m753011
-
등록/수정일 13.08.26 / 13.08.26
-
문서분량 2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5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negation( 부정 ) 우리는 가끔씩 주변사람들로부터 특정 질문에 대한 답변을 요구받게 된다. 만약 당신 앞에 당신의 짝사랑 상대가 있고, 제 3자가 ‘너, 얘 좋아하지?’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면 당신은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당신은 결코 그 앞에서 ‘응. 그래.’라고 대답하지는 못할 것이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당신은 다소 과장해서 ‘절대 아니야!’라는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제 3자나 그 짝사랑의 대상이 되는 사람은 이 반응을 보고 그 말이 진심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그 이유는 위와 같은 ‘절대 아니야!’ 등의 반응이 일종의 negation이기 때문이다.
- 본문일부/목차
- 그렇다면 이런 negation의 발생원인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프로이드의 설명에 의하면 negation은 단순히 싫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억압하고 싶어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위의 어르신들의 ‘늙으면 빨리 죽어야지.’라는 말을 다시 한번 예로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하자. 어르신들은 자신이 평생 혹은 오랜 시간 살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기 때문에 오래 살고 싶다는 생각을 스스로 negation하게 되고, ‘오래살고 싶다.’라는 말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삶에 대한 애정을 버리지는 않는다고 할지라도 그 욕망을 외부로 표출할 때 왜곡하게 되고, 결국 ‘오래 살고 싶다.’라는 생각을 ‘늙으면 빨리 죽어야지.’라고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negation은 정신적으로 강한 쇼크를 받았을 때(위의 경우 자신이 평생 살 수 없다는 사실) 자기 자신이 스스로 현실을 왜곡하는 일종의 방어기제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 防禦機制] 1894년 프로이드의 논문 <<방어의 신경정신학>>에서 처음 사용. 자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여, 감정적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의식이나 행위를 가리키는 정신분석 용어.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권미영>
라고 할 수 있다.
- 연관검색어
-
#프로이트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