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지식의 구조와 교과’라는 책 제목을 보고 딱딱하고 어려운 내용일거라는 생각에 읽을 엄두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읽다보니 장차 교육계에 종사할 예비교사로서 꼭 필요한 내용임을 알았고, 이에 대한 생각과 깨달음, 다짐을 심어 주었다. 앞으로 교사가 될 내가 교사로서 내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라는 질문과 수업에 대한 나의 그동안에 인식을 반성하면서 책을 읽어 보았다
본문일부/목차
처음 ‘지식의 구조와 교과’라는 책 제목을 보고 딱딱하고 어려운 내용일거라는 생각에 읽을 엄두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읽다보니 장차 교육계에 종사할 예비교사로서 꼭 필요한 내용임을 알았고, 이에 대한 생각과 깨달음, 다짐을 심어 주었다. 앞으로 교사가 될 내가 교사로서 내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라는 질문과 수업에 대한 나의 그동안에 인식을 반성하면서 책을 읽어 보았다.
우선 책 속의 1장에 나타난 수업의 3가지 모습에서 먼저 사회과 수업을 살펴보면 교사는 학생들에게 지식을 주입하고 있다. 봉건제도에 관한 내용을 교과서를 매개로 하여 학생들에게 전달할 뿐 그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교육의 목적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단순한 차원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그 지식을 이해시키고 더 나아가 교과내용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의 기반을 잡아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관점에서 보면 제시된 사회수업은 교육의 목적에 크게 위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생보다는 교사가 중심이 되어 거의 일방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지식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지루함을 느끼고 집중력이 저하됨이 관찰되었다. 물론 반복하는 것은 의식 내에 깊게 각인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반복에서 수업 내내 행해졌던 교사 일방적인 방식보다는 학생이 좀 더 참여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더라면 학생들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과학과 수업에서는 사회과 수업과는 달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학생들이 준비하여 발표한 내용만으로 교과내용을 충분히 습득할 수는 있을지도 모르지만 진정 과학교과다운 수업을 할 수 있는 것인가 라는 의문을 가지게 한다. 학생들은 수업을 준비할 때, 참고서 등에 정리된 사실을 바탕으로 참여하였고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스스로 교과서의 내용들에 대해서 사고할 기회가 없었다. 학생이 현상과 사실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고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교사의 의무인데, 이 수업에서는 그것이 빠져 사회과 수업과 마찬가지로 또다시 지식만을 전달하는 수업이 되어버렸다.
게다가 과학 과목은 과학적으로 수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아닐까?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